강릉 오봉저수지 저수율 12.9%... 군까지 투입된 '생활용수 비상'
강원 강릉시의 핵심 상수원인 오봉저수지가 가뭄으로 바닥을 드러내며 군부대까지 급수 지원에 나섰습니다. 저수율은 연일 최저치를 경신하고 있어 시민 생활에 큰 차질이 우려됩니다.
강원도와 강릉시에 따르면 6일 오전 9시 기준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은 12.9%로, 전날 13.2%에서 더 떨어져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오봉저수지는 강릉시 생활용수의 87%를 담당하는 핵심 수원으로, 저수율 급락은 곧바로 대규모 급수 차질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뉴스1
강릉시는 헬기, 소방차, 군부대, 임차 차량을 총동원해 운반 급수와 남대천 용수개발을 통한 관로 급수를 병행하고 있습니다.
이날 확보된 물량은 약 2만9603톤으로 전날보다 소폭 줄었으며, 시는 저수율이 10% 밑으로 내려가면 시간제·격일제 급수를 시행할 계획입니다. 현재 홍제정수장 정수 구역 내 아파트 113곳(4만5000세대)과 대형 숙박업소 10곳 등 123곳에는 이미 수도 공급이 차단됐습니다.
육·해군 총력 지원
뉴스1
육군은 지난 2일부터 급수차량 300여 대와 장병 600여 명을 투입해 연곡천 등 20여 곳의 취수지에서 물을 실어 나르고 있습니다. 해군도 군수지원함 대청함(4200t급)을 투입해 지난 4일 동해군항에 입항, 소방차 70여 대 분량인 45만 리터의 물을 강릉 안인항 화력발전소 부두에 공급했습니다.
이 물은 홍제정수장으로 옮겨져 시민들에게 전달됐으며, 해군은 오는 11일에도 같은 규모의 급수를 이어갈 예정입니다.
임상진 23경비여단장은 "육·해·공군과 해병대가 하나 돼 오봉저수지가 회복될 때까지 끈질기게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군과 지자체의 협력이 이번 가뭄 대응의 핵심 축으로 평가됩니다.
뉴스1
전문가 "물 관리 체계 전반 점검해야"
강릉시는 이번 사태를 단순한 일시적 현상이 아닌, 극심한 가뭄과 강수량 부족으로 인한 구조적 문제로 보고 있습니다. 주민들은 제한적 급수로 인해 조리, 세탁, 위생 관리 등 일상생활 전반에 불편을 겪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저수율이 10% 이하로 떨어지면 장기적인 생활용수 관리 계획이 필요하다"며 상수원 다변화, 비상 급수 체계 구축, 저수지 수위 모니터링 강화 등을 주문했습니다.
뉴스1
강릉 오봉저수지 사태는 특정 지역 문제가 아니라 기후변화와 장기 가뭄이 초래할 수 있는 생활용수 위기의 전형으로 평가됩니다. 시민들의 생활 안정과 지역사회의 안전을 위해 지자체와 중앙정부의 신속하고 체계적인 대응이 절실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