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와 근대 왕실의 역사가 살아 숨쉬는 창덕궁 희정당 내부 공개
조선 왕실의 역사와 문화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특별한 기회가 마련됩니다.
5일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가 이달 16일부터 27일까지 창덕궁 희정당 내부를 일반에 공개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창덕궁 깊이보기, 희정당'이라는 이름으로 진행되는 이번 행사는 매주 화요일부터 토요일까지 하루 두 차례씩 운영됩니다.
창덕궁 희정당 /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
1985년 보물로 지정된 희정당은 '밝은 정치를 베풀다'라는 의미를 담고 있는 중요한 전각입니다.
이곳은 조선 후기 왕과 왕비의 생활 공간이자 왕의 집무실로 사용되었던 역사적 가치가 높은 장소입니다.
현재 우리가 볼 수 있는 희정당은 1917년 화재로 소실된 후 경복궁의 침전인 강녕전을 옮겨와 1920년에 재건한 건물입니다.
전통과 근대가 공존하는 독특한 건축 양식
희정당은 전통 궁궐 건축과 근대 양식이 절묘하게 어우러진 독특한 특징을 지니고 있습니다.
희정당 내부 /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
전통 한옥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현관이 설치되어 있으며 자동차가 드나들 수 있도록 설계된 점이 특히 눈길을 끕니다. 이러한 건축적 특징은 조선 왕실이 근대화의 흐름을 수용하면서도 전통을 유지하려 했던 당시의 시대상을 고스란히 보여줍니다.
이번 관람 행사에 참여하면 전문 해설사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희정당의 바깥 현관, 동행각, 중앙홀 등 내부 곳곳을 둘러볼 수 있습니다.
특히 접견실에서는 해강 김규진(1868~1933)이 금강산을 주제로 그린 대형 벽화 '총석정절경도'와 '금강산만물초승경도'의 모사도를 감상할 수 있는 기회도 제공됩니다.
국가유산청
원본 벽화는 현재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진행 중인 특별전 '창덕궁의 근사(謹寫)한 벽화'에서 관람 가능합니다.
관람은 오전 10시와 오후 4시 하루 두 차례 진행되며 각 회차당 약 1시간이 소요됩니다. 만 19세 이상 성인만 참여할 수 있으며 회차별 정원은 24명으로 제한됩니다.
참여를 원하는 분들은 오는 8일 오후 2시부터 창덕궁관리소 누리집을 통해 신청할 수 있으며 추첨을 통해 최종 관람객이 선정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