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지원 의원, 중국 전승절 행사에서 김정은 위원장 외면 당해
중국 전승절 방문을 마치고 귀국한 박지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현장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인사를 건넸으나 외면당했다는 후일담을 공개했습니다.
박 의원은 열병식 현장에서 "김정은 위원장님, 저 박지원입니다"라고 두 차례 불렀지만, 김 위원장은 뒤돌아보지 않았다고 전했습니다.
왼쪽부터 더불어민주당 박정, 박지원 의원, 우원식 국회의장 / 뉴스1
박 의원은 5일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당시 상황을 자세히 설명했습니다.
그는 우원식 국회의장과 함께 뒷좌석에서 김 위원장을 불렀다고 합니다. 거리는 불과 3~4보 정도였지만 북측 경호원들이 가로막아 김 위원장이 뒤돌아보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최선희 북한 외무상 역시 박 의원을 보고도 외면했다고 전했습니다.
남북 관계 개선 가능성에 대한 긍정적 평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박 의원은 남북 관계에 대해 긍정적인 전망을 내놓았습니다.
중국 전승절에 참여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 GettyimagesKorea
그는 "2000년 남북 정상회담 특사를 해본 경험에 의거하면 (양측 관계가) 결코 나쁘지 않다"며 "6·15 남북 정상회담 할 때보다는 훨씬 더 분위기가 나았다"고 평가했습니다.
함께 중국을 방문했던 박정 더불어민주당 의원도 MBC라디오에서 최선희 외무상의 반응에 대해 언급했습니다.
박정 의원은 "박 의원이 (최 외무상과) 구면이어서 '최선희 외무상' 이렇게 불렀는데 애써 외면하는 모습이 보였다"며 "그동안 몇 년 간을 남북이 긴장 상태에 있었기 때문에 쉽게 반응을 보이지 않는다는 느낌이 있었다"고 설명했습니다.
박지원 의원은 우원식 의장과 김정은 위원장의 악수 자체가 큰 의미를 갖는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베이징에서 우원식 의장과 김정은 위원장이 악수를 한 그 자체, 그게 굉장히 의미가 있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중국 전승절 행사 참석 일정을 마친 우원식 국회의장이 5일 인천공항을 통해 귀국하며 취재진에게 방중 성과를 설명하고 있다 / 뉴스1
이어 "제가 가서 최 외무상과 북한 측 인사들과 김 위원장을 부른 것은 남한에서 진짜 대화를 하고 싶다는 것을 (북측에) 전달한, 굉장히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습니다.
박 의원은 북한의 소통 방식에 대해서도 설명했습니다.
그는 "북한은 최고 지도자의 귀에 그러한 얘기를 전달하는 것이 굉장히 큰 의미가 있다"거 했습니다.
아울 "우 의장이 (우호적 메시지를) 전달한 것은 결국 남북 대화를 하자는 메시지가 강하게 전달된 것이기 때문에 북한에서도 굉장히 인상적으로 받아들였을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