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불교 건축의 역사를 품은 '안동 광흥사 응진전' 보물 지정 예고
국가유산청(청장 허민)이 경상북도 안동시에 위치한 '안동 광흥사 응진전(安東 廣興寺 應眞殿)'을 국가지정문화유산 보물로 지정 예고했습니다.
3일 국가유산청은 이 같은 내용을 발표하며 조선시대 불교 건축과 사찰 운영의 변화를 보여주는 귀중한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를 인정했습니다.
안동 광흥사는 통일신라 시대에 창건된 것으로 전해지는 유서 깊은 사찰입니다. 특히 조선 전기에는 불경 간행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던 안동 지역의 대표적인 사찰로 알려져 있습니다.
안동 광흥사 응진전 / 사진 제공 = 국가유산청
응진전의 정확한 창건 연대는 명확하지 않지만, 망와에 기록된 내용을 통해 1647년(인조 25년)에 기와 공사가 진행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어, 그 이전인 조선 중기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화재를 피해 살아남은 유일한 전각, 역사적 가치 인정받다
안동 광흥사는 1827년과 1946년 두 차례의 큰 화재로 주불전이었던 대웅전을 비롯한 대부분의 전각이 소실되는 아픔을 겪었습니다. 그러나 부불전(副佛殿)이었던 응진전은 중심 영역에서 벗어나 있어 화재를 면했고, 이후 광흥사의 중심 불전 기능을 수행하게 되었습니다.
건축적으로 살펴보면, 안동 광흥사 응진전은 정면 5칸, 측면 2칸 규모에 겹처마 팔작지붕을 갖추고 있습니다.
특히 건물 정면의 공포(기둥 위에 짜 올린 구조물)는 기둥 사이에도 배치한 다포계 양식으로 화려하게 조성되었으며, 옆면과 뒷면은 기둥 위에만 공포를 두고 꽃 문양이 그려진 화반으로 장식하여 정면을 강조한 특징을 보여줍니다.
안동 광흥사 응진전의 공포 정면 / 사진 제공 = 국가유산청
응진전의 공포는 조선 전기 양식을 계승하면서도 중기와 후기에 이르는 불전 건축양식의 변화를 시기적으로 잘 보여주는 형태를 지니고 있어 건축사적 학술 가치가 높게 평가됩니다.
또한 응진전 내부에는 '소조석가여래오존상 및 16나한상 일괄'(경상북도 유형문화유산)이 봉안되어 있습니다. 이 불상들은 16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예술성이 뛰어난 작품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총 42구에 달하는 불상은 일반적인 사례보다 그 수가 많고 배치가 특이하여 학술적 가치를 더하고 있습니다.
국가유산청은 '안동 광흥사 응진전'에 대해 30일간 의견을 수렴한 후 문화유산위원회 심의를 거쳐 최종적으로 보물로 지정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