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스피싱 조직에 속아 '셀프감금'된 20대, 경찰 구조로 9천만 원 피해 막아
보이스피싱 조직원의 지시에 따라 나흘간 모텔에 머물며 하지도 않은 범죄에 대한 반성문을 작성하던 20대 남성이 경찰에 의해 구조되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9,000만 원에 달하는 금전적 피해를 막을 수 있었습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지난 2일 대전동부경찰서에 따르면, 경찰은 지난달 28일 '아들이 보이스피싱 범죄에 당한 것 같다'는 신고를 접수받고 대전 동구 용전동의 한 모텔로 신속히 출동했습니다.
현장에서 발견된 대구 거주 A씨(20대)는 지난달 25일부터 검사를 사칭한 보이스피싱 조직원의 지시에 따라 모텔에서 '셀프감금' 상태로 지내고 있었습니다.
A씨는 "수사 중인 사기 범죄에 당신의 계좌가 연루됐다. 구속영장 청구를 위한 수사를 해야 하니 대전으로 이동 후 모텔에 투숙하라"는 가짜 검사의 지시를 받고 모텔에 머물며, '그동안 살아왔던 일과 잘못한 일을 모두 반성문으로 쓰라'는 추가 지시에 따라 A4 용지 10장 분량의 자필 반성문을 작성하고 있었습니다.
심리적 지배와 금전 요구로 이어진 교묘한 보이스피싱 수법
경찰 조사 결과, A씨가 작성한 반성문에는 '개인정보 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은 제 잘못으로 범죄에 연루됐다'는 등 본인이 실제로 저지르지도 않은 범죄에 대한 자백과 반성 내용이 담겨 있었습니다. 이는 보이스피싱 조직이 피해자의 심리를 지배하기 위해 사용한 전형적인 수법으로 확인되었습니다.
더욱 심각한 것은 A씨가 '무죄 증명을 위해 자산 검수가 필요하니 돈을 준비하라'는 조직원의 말에 속아 부모로부터 2천만 원, 긴급 대출로 2천만 원을 빌리는 등 총 9천만 원의 자금을 마련했다는 점입니다.
대전경찰청
나흘간 피싱 조직원들에게 세뇌당한 A씨는 처음에는 출동한 경찰에게 "피해 본 사실이 없다"며 항의하기도 했습니다.
출동한 경찰관은 1시간이 넘는 시간 동안 보이스피싱 셀프감금 사례를 끈질기게 설명하며 A씨를 설득했고, 결국 A씨는 자신이 보이스피싱 범죄의 피해자임을 인정하게 되었습니다.
이로써 9천만 원에 달하는 금전적 피해를 사전에 막을 수 있었습니다.
경찰 관계자는 "보이스피싱 수법이 단순 금전 요구를 넘어, 반성문 등 갖가지 수법으로 피해자의 심리를 지배하는 등 범죄 수법이 나날이 다양해지고 있다"며 "의심스러운 전화를 받으면 즉시 112로 신고하거나 경찰관서를 방문해달라"고 당부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