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년 만의 파업, 현대차 노조 3일부터 사흘간 부분 파업 돌입
현대자동차 노동조합이 3일부터 사흘간 부분 파업에 돌입합니다. 이번 파업은 현대차 노조가 7년 만에 파업을 결정한 것으로, 노사 간 임금 협상이 난항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결정됐습니다.
현대차 노조는 2일 중앙쟁의대책위원회를 개최하고 부분 파업을 결정했다고 밝혔습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뉴스1
파업 일정에 따르면 오전 출근조와 오후 출근조는 3일과 4일에 각각 2시간씩, 5일에는 4시간 동안 작업을 중단할 예정입니다.
현대차는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 6년 연속 무파업으로 단체교섭을 마무리했으나, 올해는 상황이 달라졌습니다.
평행선 달리는 노사 협상, 임금과 근무조건 이견 지속
현대차 노사는 올해 6월부터 20차례 교섭을 진행했지만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사측은 2일 열린 교섭에서 월 기본급 9만 5000원 인상, 성과금 400%+1400만원, 전통시장상품권 20만원, 주식 30주 지급, 일부 수당에 통상임금 확대 적용 등을 포함한 2차 안을 제시했으나, 노조 측은 이를 수용하지 않았습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뉴스1
노조는 올해 기본급 14만1300원 인상(호봉승급분 제외), 작년 순이익의 30% 성과급 지급, 소득 공백 없는 정년 연장(최장 64세), 주 4.5일제 도입, 상여금 인상 등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노조는 회사가 지난해 14조2396억 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하고, 올해 2분기 매출이 전년 대비 7.3% 증가한 점, 그리고 미국 관세가 당초 25%에서 15%로 낮아진 점을 들어 임금 인상의 여력이 충분하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반면 사측은 미국 관세 압박과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둔화) 등으로 인해 앞으로 영업이익률에 하방 압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을 고려해야 한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자동차 산업 전문가들은 글로벌 경쟁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장기 파업으로 이어질 경우 회사의 생산 차질과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습니다.
쟁점은 정년 연장과 주 4.5일제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뉴스1
특히 정년 연장과 주 4.5일제 도입을 둘러싸고 노사 간 견해차가 큽니다. 사측은 이러한 제도 변경은 정부와 정치권에서 먼저 논의해야 할 사안이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반면 노조는 현대차가 선제적으로 이 문제를 해결해 나가야 한다고 주장하며 이견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현대차 노조가 부분 파업에 돌입하기로 결정했지만, 노사 양측은 교섭을 계속 이어가기로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