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노조, 주 4.5일제 도입 위한 총파업 예고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이 주 4.5일제 도입을 목표로 오는 26일 총파업에 돌입할 예정입니다. 이재명 정부의 주 4.5일제 공약이 발표되자 금융노조가 신속하게 행동에 나선 것인데요.
2일 금융노조는 전체 조합원 쟁의행위 찬반투표 결과, 94.98%라는 압도적인 찬성률을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금융노조는 16일 총력 투쟁 결의대회를 개최하고, 26일부터 총파업을 실시할 계획입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뉴스1
다만 현재 산별 중앙교섭이 진행 중이어서 합의가 이루어질 경우 실제 파업으로 이어지지 않을 가능성도 남아있습니다.
금융노조가 내세운 교섭 요구안은 임금 5% 인상, 주 4.5일제 전면 도입, 신규 채용 확대, 정년 연장 등 다양한 항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김형선 금융노조 위원장은 "2002년 주 5일제 도입도 가능한 산업부터 시작해 확산한 것처럼 금융산업이 먼저 변화를 이끌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금융노조는 한국의 장시간 노동 구조가 저출생의 원인이라며, 주 4.5일제 도입이 저출생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지난해에는 주 4.5일제 도입으로 지방 방문 시간이 늘어나 지방 소멸 위기 해결이 가능하다는 주장도 펼친 바 있습니다.
뉴스1
은행원 억대 연봉과 파업에 대한 비판적 시각
금융노조는 3년 연속 주 4.5일제 도입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그동안은 매번 합의에 실패했으나, 새 정부가 주 4.5일제 도입을 장려하고 있어 금융노조의 주장에 힘이 실리는 분위기입니다.
하지만 평균 1억원이 넘는 연봉을 받는 은행원들이 임금 인상과 근무시간 단축을 요구하며 파업을 예고한 것에 대한 부정적 여론도 상당합니다.
나아가 이미 은행 업무 대부분이 비대면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영업시간을 더 줄일 경우 국민 불편이 커질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