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9월 14일(일)

숨 붙어있는 노인 집에 찾아와 가족들에 사후 '화장' 강요한 공무원들

중국 공무원들, 살아있는 노인에게 화장 강요해 논란


중국에서 지방 공무원들이 아직 살아있는 노인에게 화장을 강요하는 사건이 발생해 큰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지난달 31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보도를 통해 이 충격적인 사건의 전말을 전했습니다.


지난달 19일, 중국 동부 안후이성의 한 주민이 소셜미디어에 영상을 게시했는데요. 이 영상에는 병으로 죽어가는 노인이 있는 가정에 지방 정부 관리들이 찾아와 화장을 장려하는 모습이 담겨 있었습니다.


인사이트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해당 지역에서는 임종을 앞둔 사람을 바닥에 눕히는 전통적 관습이 있는데, 이런 민감한 시기에 공무원들이 화장의 장점과 무료 화장 정책을 설명하는 모습이 포착된 것입니다.


이 영상이 공개되자 중국 누리꾼들 사이에서 분노가 폭발했습니다.


한 누리꾼은 "이런 시기에 화장을 광고하는 것은 매우 부적절하다. 유족들은 공무원들과 싸우기보다는 말로만 다투었을 뿐, 매우 예의 바르게 행동했다"라고 비판했습니다.


중국의 장례 문화와 정부 정책 사이의 갈등


중국에서는 전통적으로 죽음에 관한 이야기를 금기시하는 문화가 있습니다. 이는 불운과 죽음의 필연성을 더 가까이 가져온다는 믿음 때문인데요. 이러한 문화적 배경 속에서 공무원들의 행동은 더욱 부적절하게 비춰졌습니다.


인사이트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논란이 커지자 해당 지방 정부는 사건 다음 날 사과문을 발표했습니다.


정부 측은 직원들이 단순히 마을 전역에 화장 서비스를 홍보했을 뿐, 특정 가족을 겨냥한 것이 아니라고 해명했지만, 많은 시민들은 이러한 설명에 납득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중국 정부는 1985년부터 장례 및 매장 서비스 관련 법률을 제정하고 장례 개혁을 추진해왔습니다. 특히 시골 지역 공무원들은 "묻히는 것은 평화롭게 쉬는 것"이라는 전통적 믿음을 가진 주민들에게 생태적이고 공간 절약적인 화장을 선택하도록 설득하는 임무를 맡고 있습니다.


일부 온라인 누리꾼들은 지방 정부가 가족 구성원 사망 시 즉시 화장을 위해 추적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인사이트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또 다른 누리꾼은 "가족이 매장 전에 유골을 관에 담을 수 있도록 허용된다면, 그게 전통적인 매장과 어떻게 다른지 궁금하다"라는 의문을 제기하기도 했습니다.


공식 통계에 따르면, 중국의 화장률은 1986년 26.2%에서 2012년 58.8%로 크게 증가했습니다.


중국 정부는 도시 지역에서 수목장이나 수장과 같은 생태적 매장 방식을 적극 장려하고 있으며, 이를 선택하는 시민들에게 보조금도 지급하고 있습니다.


민정부 자료에 따르면, 2014년에는 19만 5000건의 생태 장례가 이루어졌으며, 이는 2019년 대비 67% 증가한 수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