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단지·인구감소지역 직장인 식비 지원, 혜택과 논란
정부가 내년부터 산업단지·인구감소지역 중소기업 노동자 5만4천명에게 월 4만 원의 식비를 지원하는 '직장인 든든한 한끼' 시범사업을 실시합니다.
지난 29일 정부가 발표한 2026년 예산안에 따르면, 농림축산식품부는 내년부터 '직장인 든든한 한끼' 시범사업을 실시할 예정입니다.
이 사업은 79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인구 감소 지역 소재 중소기업 근로자 5만4000명에게 식비를 지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사진 = 인사이트
직장인 식비 지원 사업의 두 가지 핵심 프로그램
이 사업은 크게 '천원의 아침밥'과 '든든한 점심밥' 두 가지로 구성되는데요. '천원의 아침밥'은 기존에 대학생을 대상으로 시행하던 프로그램을 산업단지 노동자에게 확대한 것입니다.
이 프로그램은 쌀을 활용한 일반식(백반, 덮밥 등)이나 간편식(김밥 등)을 한 끼당 1000원에 제공하는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예를 들어 단가 5000원 식사의 경우, 정부가 2000원, 지자체와 기업이 1000원을 각각 부담하고 근로자는 1000원만 지불하면 됩니다.
'든든한 점심밥' 사업은 근로지 내 외식 업종에서 점심시간(11~15시)에 결제한 금액의 20%를 할인해주는 방식으로, 월 4만 원 한도 내에서 지원이 이뤄집니다.
정부는 이 정책을 통해 "끼니 해결이 어려운 직장인의 복리후생 증진과 삶의 질 제고를 기대한다"며, "점심시간 외식 업종 이용 촉진으로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도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정책에 대한 상반된 시각과 확대되는 식비 지원
하지만 이 정책을 두고 세금으로 직장인의 식사를 지원하는 것이 적절한지에 대한 의문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특히 내년 지방선거를 앞둔 시점에서 선심성 정책이라는 비판도 상당합니다.
반면, 수도권과 대기업 근무 직장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악한 지방 산업단지의 근무환경을 고려한 정책이라는 긍정적인 평가도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한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1000원의 아침밥' 사업도 점차 확대될 예정입니다. 지원 대상은 올해 450만 명에서 내년에는 540만 명으로 늘어나고, 대상 학교도 201개교에서 240개교로 확대됩니다.
또한 내년에는 전국 초등 늘봄학교 맞춤형 교실에 참여하는 1, 2학년 학생 60만 명에게 주 1회 과일 간식이 지급될 예정입니다.
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