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정상회담 이면의 외교적 성과
한미 정상회담의 공식 일정 이면에서 중요한 외교적 성과가 도출되었습니다.
강훈식 대통령실 비서실장과 수지 와일스 백악관 비서실장 간 '비서실장 핫라인'이 구축되기로 합의된 것인데요.
강훈식 대통령실 비서실장 / 뉴스1
양국 대통령실 비서실장 간 직통 대화 채널이 처음으로 마련된 건 처음입니다.
28일 대통령실이 공개한 내용에 따르면, 강 비서실장은 25일(현지시간) 한미 정상회담 직후 기자들과의 만남에서 자신의 방미 목적이 "장기적이고 종합적인 문제 논의를 위한 핫라인 구축"이었다고 밝혔습니다.
강 비서실장은 "트럼프 대통령의 신뢰를 받는 와일스 비서실장이 적합하다고 판단했고 2주 전부터 추진했다"고 전했습니다.
핫라인의 상대인 수지 와일스 비서실장은 트럼프 대통령의 두 차례 대선 승리를 이끈 최측근으로, 백악관 내 '실세 중의 실세'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강 비서실장은 "최초부터 만남에 대해선 긍정적이었지만 비공개 원칙을 미국 측에서 주문했고, 일정 안건 시간에 대해 여러 사항도 불확실한 건 있었다"고 했습니다.
수지 와일스 백악관 비서실장 / GettyimagesKorea
이어 ""일주일 전 마지막으로 와일스 비서실장과 면담 일정을 확정했다"며 "(정상회담 약 2시간 전) 40분간 백악관에서 비서실장과 만났다"고 덧붙였습니다.
한미 관계의 새로운 소통 창구 역할 기대
강 비서실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정상회담 전 한국 내 상황을 비판하는 글을 SNS에 올린 것과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에게 이 문제에 대한 정확한 사실관계를 다시 보고해달라 요청했다"고 언급하기도 했습니다.
우려를 기대로 바꾼 트럼프 대통령의 태도 변화에는 강 실장 등 우리 정부의 대응이 있었던 것입니다.
이후 트럼프 대통령은 이 대통령을 마중 나와 '한국에서 일어나는 숙청에 대해 우려하는가?'라는 현지 취재진의 질문이 나오자, 이 대통령 귀에 "우린 저런 사람들을 '가짜 뉴스'라고 부른다"고 속삭이기도 했습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재명 대통령에게 귓속말을 하고 있다 / Facebook 'The White House'
이에 대해 홍현익 전 국립외교원장은 28일 BBS 라디오에서 "강훈식 핫라인 MAGA 그룹 입김 막는 데 큰 역할을 했다"는 취지로 평가했습니다.
핫라인 구축은 정무 소통 라인을 확보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습니다. 또 향후 지속될 한미 관계에서도 중요한 대화 채널로 신속하고 효율적인 의사소통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한편, 이번 한미정상회담을 위한 방미길에는 대통령비서실장, 정책실장, 국가안보실장 등 대통령실 3실장이 모두 동행했습니다.
통상 대통령의 해외 순방 때 대통령비서실장이 대통령실에 남아 국내 상황을 관리했기 때문에 모두 국내를 비운 건 이례적이란 평가가 나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