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산 진통제, 마약류 논란
일본 여행 시 '꼭 사 와야 할 아이템'으로 입소문이 났던 일본산 진통제가 최근 큰 논란에 휩싸였습니다.
많은 여행객들이 찾던 이 진통제가 국내에서는 마약류로 분류된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 사용 후기를 올린 블로거들이 마약류관리법 위반 혐의로 대거 입건되는 사태가 발생한 것인데요.
TV조선
지난 25일 TV조선의 보도에 따르면, 경찰은 지난 6월 국내 한 인터넷 마케팅 업체와 이 업체를 통해 일본산 진통제 체험 후기를 작성한 블로거 수십 명을 마약류관리법 위반 혐의로 입건하고 소환조사를 통보했습니다.
해당 마케팅 업체는 블로거들에게 진통제 구매비를 지불하며 체험 후기를 작성하도록 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문제가 된 일본산 진통제에는 국내에서 2000년대 중반부터 마약류로 분류된 성분이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Unsplash
그동안은 크게 문제가 되지 않았으나, 지난 4월부터 경찰과 관세청이 해외 의약품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면서 새롭게 적발된 것입니다.
이전에는 일본 구매 대행 사이트를 통해 쉽게 구매할 수 있었던 이 진통제는 현재 '마약류 검사 강화'라는 안내와 함께 구매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이는 정부의 마약 성분이 포함된 해외 의약품에 대한 단속 강화 정책의 일환으로 볼 수 있습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온라인에 올린 후기가 마약 범죄로
블로그에 올라온 후기들을 살펴보면 "해열 진통에 좋다", "생리통에 효과적이다", "20분 안에 통증이 사라진다" 등 대부분 긍정적인 평가가 주를 이루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후기들이 마약류 매매 유인으로 해석될 수 있다는 점이 문제가 되었습니다.
갑작스럽게 마약 사건 피의자가 된 블로거들은 "업체에서 받아 문제가 될 줄 몰랐다", "단순히 체험단 활동을 한 것뿐인데 억울하다"는 입장을 표명하고 있습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마케팅 업체 측은 "해당 제품이 마약류로 분류되는 것을 몰랐고 당황스럽다"며 "경찰 조사에 최대한 협조해달라"고 블로거들에게 당부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번 사건은 해외 의약품 구매와 사용 시 국내법을 충분히 확인해야 하는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일깨워주고 있습니다.
특히 온라인에서 활동하는 블로거나 인플루언서들은 제품 홍보 시 해당 제품의 법적 지위를 반드시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