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세계 2위 다태아 출산율... 세쌍둥이 이상은 1위
한국의 다태아 출산율이 세계에서 두 번째로 높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특히 세쌍둥이 이상 출산율은 세계 1위를 기록했습니다.
25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발간한 '한국의 다태아 출생 추이와 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다태아 출산율(총 분만 1천건당 쌍둥이 이상의 다태 분만 건수)은 2023년 기준 26.9건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세계 다태아 출산율 데이터(HMBD)에 포함된 27개 주요국 중 그리스(29.5건)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수치입니다. 전체 국가 평균인 15.5건보다 무려 11.4건이나 높은 수준입니다.
세쌍둥이 이상 출산율은 세계 1위로, 2023년 기준 0.59건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2위인 그리스(0.37건)보다도 높으며, 전체 국가 평균(0.21건)의 약 3배에 달하는 수치입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AI 이미지 / Bing Image Creator
저출산 시대에 증가하는 다태아 출생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심각한 저출산 현상에도 불구하고 다태아 출생은 오히려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합계출산율이 2000년 1.48명에서 2023년 0.72명으로 절반 이하로 감소했지만, 같은 기간 다태아 출생은 1만768명에서 1만2천622명으로 증가했습니다.
전체 출생아 중 다태아가 차지하는 비율도 2000년 1.7%에서 2023년 5.5%로 3배 이상 늘어났습니다.
다태아를 출산하는 가구의 특성으로는 부모의 고연령화 현상이 두드러집니다.
2000년부터 2023년까지 단태아 아버지의 평균 출산연령은 4.5세, 어머니는 5.1세 높아진 반면, 다태아 아버지는 5.0세, 어머니는 5.7세 높아져 더 가파른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전체 출생과 다태아 출생의 추이(1990~2023년)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제공
또한 다태아의 임신 주수는 단태아보다 평균적으로 약 3주가량 짧았고, 37주 미만에 출산하는 조산율은 다태아가 단태아의 10배에 달했습니다.
보고서는 다태아 출생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 출산 연령 상승과 의료보조생식술의 발전을 꼽았습니다.
자연 임신에서 다태아 임신은 전체의 1~2%에 불과하지만, 난임시술에 의한 다태아 임신 비율은 30~40%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한국의 난임시술 건수와 환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점을 고려할 때, 다태아 출생은 앞으로도 계속 증가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보고서를 작성한 배혜원 연구원은 "다태 임신은 산모와 태아 모두에게 위험해 사회적 과제가 많은데, 한국의 다태아 출생 현황과 특성을 파악할 자료는 매우 제한적이고 주로 이른둥이 위주"라며 "다태아 출생 가구 대상 데이터를 구축하고 정책 수요에 기반해 보건복지서비스를 구축해야 한다"고 제언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