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관세 정책 변경으로 우체국 국제 배송 서비스 중단
미국의 관세 정책이 변경됨에 따라 우리나라 우체국에서 미국으로 보내는 소포와 국제특송(EMS) 서비스가 단계적으로 중단됩니다.
지난 21일 우정사업본부는 오는 25일부터 미국행 항공 소포 접수를 중지하고, 26일부터는 EMS 중 관세가 부과되지 않는 서류를 제외한 모든 물품에 대한 우체국 창구 접수를 중단한다고 발표했습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AI 이미지 / Bing Image Creator
이미 배송 시간이 더 오래 걸리는 선박을 통한 미국행 소포는 접수가 중단된 상태입니다.
이번 조치는 트럼프 행정부가 지난달 30일 '소액 면세 제도'를 폐지하는 행정명령을 내린 데 따른 것입니다.
미국은 그동안 해외에서 들어오는 800달러(한화 약 111만 8,000원) 이하 물품에 대해서는 관세를 면제해왔으나, 이러한 면세 제도가 불법 마약류와 위조품 등의 반입 통로로 악용되고 있다는 판단에 따라 제도를 폐지했습니다.
미국 시각으로 29일 0시부터는 미국에 도착하는 서류를 제외한 모든 국제 우편물이 신고 대상이 되며, 15%의 관세가 부과됩니다.
대안 서비스와 향후 대응 방안
사진 = 인사이트
우체국 측은 현행 국제 우편망 시스템으로는 미국의 새로운 관세 정책에 대응하기 어렵다고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소비자들이 완전히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는 것은 아닙니다.
우체국이 민간 회사와 제휴해 운영하는 'EMS 프리미엄' 서비스를 통해서는 여전히 미국으로 소포를 발송할 수 있습니다. 이 서비스는 운영사가 통관을 대행하는 방식으로, 관세는 미국 현지 수취인에게 부과됩니다.
다만 이러한 대체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기존 우체국 서비스보다 비용이 높아질 수 있고 배송 시간도 더 길어질 가능성이 있어 소비자들의 혼란이 예상됩니다.
우정사업본부는 국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현지 업체들과 논의를 통해 최대한 빠르게 문제를 해결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