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관광지 어묵 한 개에 3000원... 바가지 논란 확산
부산의 유명 관광지에서 어묵 한 개를 3000원에 판매하는 노점상들이 '바가지 요금' 논란의 중심에 서게 되었습니다.
지난 18일 유튜브 채널 '투깝이'에 올라온 영상을 통해 이 사실이 알려지면서 소비자들의 불만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해당 유튜버는 '부산 길거리 오뎅 가격. 3천원? 너무한거 아닌가요? 부산 어묵 바가지 상황!'이라는 제목의 영상에서 부산 용궁사 인근 노점상들을 방문했습니다.
유튜버가 한 노점에서 어묵 가격을 물었을 때 "3000원"이라는 답변을 듣고 "몇 개에 3000원이에요?"라고 재차 확인했는데요.
YouTube '투깝이'
노점상은 "1개에 3000원"이라고 답했습니다. 같은 노점에서 판매하는 핫도그 한 개의 가격 역시 4000원에 달했습니다.
유튜버의 일행은 이에 "사장님 곧 빌딩 사시겠다"라며 농담을 건넸고, 유튜버는 "그래도 부산 어묵이니 일단 먹어보겠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영상에는 "어묵맛은 그냥 어묵맛"이라는 자막이 등장해 특별한 맛이 아니었음을 암시했습니다.
관광지 노점상들의 일관된 고가 정책에 소비자 불만 고조
유튜버는 다른 노점상도 방문했지만 상황은 크게 다르지 않았습니다. 두 번째 방문한 노점에서도 어묵 한 개 가격이 3000원이었습니다.
유튜버가 "많이 비싼 것 아니냐"고 문의하자 해당 상인은 "들어봐 어묵 자체가 틀려"라며 "일단 먹어 보고 말씀하시라"고 응대했습니다.
YouTube '투깝이'
영상의 마지막 부분에서 유튜버는 "한개에 3000원은 너무하다"며 "가족들끼리 오면 난감할 것 같다. 딸이 어묵을 좋아해서 4개 먹으면 1만 2000원"이라며 황당함을 표현했습니다.
이 영상이 공개된 후 누리꾼들 사이에서는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졌습니다. "양심이 없다", "뭘 넣었길래 3000원이냐", "부산도 바가지요금 문제로 관광객이 끊겨야 정신을 차릴 것"이라는 댓글이 이어졌습니다.
일부 시민들은 노점상들 간의 가격 담합 가능성을 제기하며 관할 지자체에 민원을 제기했습니다. 그러나 관할 지자체는 "음식 판매 가격은 가게 자율이며 강제할 수 없는 부분"이라는 입장을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