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협정도 논의 가능성 높아져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자국 내 원전 건설 확대를 위해 한국 기업의 적극적인 참여를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르면 오는 25일 예정된 한미 정상회담에서 원전 협력이 주요 의제로 다뤄질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직후 '원전 르네상스'를 선언하며 2030년까지 원전 10기를 착공하고, 2050년까지 현재 100GW 수준인 원전 설비용량을 400GW로 늘리겠다는 목표를 제시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 GettyimagesKorea
그는 "원전은 안전하고 환경 친화적인 산업"이라며 확대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하지만 미국은 1979년 스리마일섬 사고 이후 신규 원전 건설이 사실상 중단되면서 공급망이 붕괴된 상태입니다.
지난 2023년 40여 년 만에 신규 원전 공사를 재개했지만 공정 지연이 반복됐습니다.
이에 트럼프 행정부는 한미 관세 협상 과정에서도 "한국이 미국에 와 원전을 지어 달라"고 제안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한전·한수원 잇따라 방미...웨스팅하우스 협력 논의
실제로 한미 에너지 당국 접촉 과정에서 미국 측은 "제3국 시장보다 시급한 것은 미국 내 원전 확충"이라며 한국 원전 기업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대한다는 뜻을 우리 정부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뉴스1
이 같은 상황에서 한국전력 김동철 사장과 한국수력원자력 황주호 사장은 각각 21일과 23일 미국으로 출국해 웨스팅하우스 및 소형모듈원자로(SMR) 기업들과 협력 방안을 논의할 예정입니다.
한수원은 웨스팅하우스와 합작회사를 설립해 미국 시장에 본격 진출하는 방안도 검토 중입니다.
산업부는 역시 미국 측 관심사에 따라 다양한 논의 주제가 제기될 수 있는 만큼 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오는 25일 이재명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의 정상회담에서 원자력협정 논의가 병행될 경우, 한미 원전 협력이 본격화할지 주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