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9월 14일(일)

"中 틱톡은 안보 위협"이라며 금지한다던 트럼프... 백악관, 공식 계정 개설

트럼프 행정부, 틱톡에 공식 계정 개설... 과거 퇴출 운동과 대조적


미국 백악관이 중국계 동영상 플랫폼 틱톡에 공식 계정을 개설했습니다. 이는 과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안보 우려를 이유로 틱톡 퇴출을 추진했던 정책과 대조적인 행보를 보여주고 있어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지난 19일(현지 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 틱톡 공식 계정에 "나는 여러분의 목소리입니다"라고 말하는 동영상을 게시했습니다.


해당 동영상에는 "미국이 돌아왔다. 안녕, 틱톡"이라는 자막도 함께 포함되었습니다. 이번 계정 개설은 트럼프 행정부가 소셜 미디어를 통한 대국민 소통 전략을 강화하려는 움직임으로 해석됩니다.


2025-08-20 15 15 17.jpgTikTok 'whitehouse'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대선 기간 트럼프 대통령의 메시지는 틱톡에서 큰 반향을 일으켰다"며 "트럼프 행정부는 이 같은 성공을 바탕으로 어떤 행정부보다 효과적인 방식으로 소통하길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인을 위해 이룬 역사적인 성과들을 최대한 많은 이들에게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트럼프의 틱톡 정책 변화, 젊은 유권자층 공략 전략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대선 기간 젊은 층 유권자를 공략하기 위해 개인 틱톡 계정을 활용했으나, 당시에는 백악관 공식 계정을 개설하지 않았습니다.


현재 트럼프 대통령의 개인 틱톡 계정은 1,500만 명의 팔로워를 보유하고 있어 상당한 영향력을 갖고 있습니다.


주목할 점은 트럼프 대통령이 2020년 1기 집권 당시에는 틱톡에 대해 사업체 매각을 강제하는 행정명령을 내리며 틱톡 퇴출 여론을 주도했던 인물이라는 사실입니다.


GettyimagesKoreaGettyimagesKorea


당시 그는 1억7000만 명의 미국인이 사용하는 틱톡이 수집한 사용자 정보가 중국 공산당에 유출될 경우 심각한 안보 위협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러한 배경에서 연방 의회는 '틱톡 강제 매각법'까지 제정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대선 과정에서 "틱톡을 금지하면 젊은 층이 분노할 것"이라며 입장을 선회했습니다.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은 올해 초 취임 후 틱톡 금지법 시행을 유예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여 틱톡의 강제 매각은 보류된 상태입니다.


현재 틱톡의 모회사인 바이트댄스는 미국 사업권을 미국 투자자들에게 절반 이상 이전하는 방향으로 협상을 사실상 마무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다만 미국과 중국 간 무역 갈등으로 인해 중국 정부가 틱톡 매각에 대한 승인을 보류하고 있는 상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