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틀간 562문 중 398문 답변 회피
채해병 특검(이명현 특별검사)팀이 진행 중인 채상병 순직 사건 수사에서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이 무려 400건 가까운 질문에 대해 진술을 거부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임 전 사단장은 지난 7일과 11일 열린 2·3차 소환 조사에서 당시 실종자 수색 작전 지휘 및 허위 보고 의혹 관련 질문 562건 가운데 398차례 답변을 하지 않았습니다.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 뉴스1
그는 "진술 거부하겠습니다"라는 말을 244회, "진술하지 않겠습니다"를 154회 반복했습니다.
"억울하다" 주장했지만 조사에선 침묵
임 전 사단장은 언론을 통해 "신속한 수사와 처분을 원한다"고 강조했지만, 정작 대면 조사에서는 대부분의 질문에 침묵으로 일관했습니다.
심지어 수색 현장에서 사용한 차량 같은 기본적 사실관계조차 답변을 거부했습니다. 검찰은 이 같은 태도를 두고 "기초적 사실까지 부인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지적했습니다. 임 전 사단장은 과거 경찰 조사에서 "작전통제권을 행사하지 않았고 조언 차원에서 지도를 했다"고 주장했으나, 특검은 "실제 현장에선 사실상 구속력이 있는 지시로 받아들여졌을 것"이라며 반박했습니다.
진술거부권 행사 두고 공방
뉴스1
임 전 사단장은 휴대전화 비밀번호 제공 요구에도 응하지 않았습니다.
검찰은 이를 "핵심 물증 확보를 고의로 방해하는 불량한 태도"라고 비판했으나, 임 전 사단장 측은 "헌법상 권리를 행사한 피의자에게 검사가 압박성 언행을 했다"고 반박했습니다. 특검팀은 임 전 사단장이 사실상 수사에 협조하지 않는 만큼, 당사자 추가 조사보다는 사단 휘하 지휘관 진술과 객관적 자료 확보에 집중할 계획입니다.
임 전 사단장은 지난해 7월 경북 예천군 수해 현장에서 채상병에게 안전장비 없이 무리한 수색을 지시한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
뉴스1
그는 초동 조사에서 혐의자로 분류됐다가, 이른바 'VIP 격노' 이후 혐의자 명단에서 제외됐습니다. 이 과정에서 김건희 전 대통령 부인의 구명 로비 의혹까지 불거지며 파장이 확산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