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총리, 패전일 추도사에서 13년 만에 '반성' 언급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제2차 세계대전 패전일 80주년을 맞아 "전쟁의 반성과 교훈을 깊게 가슴에 새겨야 한다"고 언급했습니다.
일본 총리가 패전일 추도사에서 '반성'이라는 표현을 사용한 것은 2012년 이후 무려 13년 만의 일입니다.
15일 아사히 신문의 보도에 따르면, 이시바 총리는 도쿄에서 개최된 패전 80주년 종전기념일 전몰자 추도식에서 "2차 대전 후 80년이 흘렀고, 이제 전쟁을 모르는 세대가 대다수가 됐다"며 이같은 발언을 했습니다.
이시바 총리는 "전쟁의 참화를 결코 반복하지 않겠다. 다시는 진로를 잘못 선택하지 않겠다"며 "전쟁의 반성과 교훈을 지금 다시 한번 깊이 가슴에 새겨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 / GettyimagesKorea
일본의 평화 의지와 과거 반성 표명
이시바 총리는 "동시에 80년간 일본은 일관되게 세계 평화와 번영을 위해 힘써왔다"며 "세월이 흘러가도 비통한 전쟁의 기억과 전쟁을 하지 않겠다는 결연한 다짐을 세대를 넘어 계승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또한 "분쟁이 끊이지 않는 세상에서 분단을 배제하고 관용을 장려하며, 현재를 살아가는 세대와 미래 세대를 위해 더 나은 미래를 개척해 나가겠다"고 연설을 마무리했습니다.
일본 총리들은 1995년 무라야마 담화 발표 이후 종전기념일 전몰자 추도사에서 아시아 국가 침략과 식민 지배에 대한 사죄 취지로 '반성'을 언급해 왔습니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 / GettyimagesKorea
그러나 이러한 관행은 2012년 아베 신조 당시 총리가 재집권하면서 중단된 바 있습니다.
한편, 이시바 총리는 추도식에 앞서 2차 세계대전 중 해외에서 전사한 이름 없는 유골이 안치된 치도리가후치 전몰자 묘원을 찾아 헌화했습니다.
태평양전쟁 A급 전범이 합사된 야스쿠니 신사는 참배하지 않고, 사무실을 통해 공물료만 봉납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