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만화 '꺼벙이', 55주년 맞아 숏폼 애니메이션으로 부활
197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많은 사랑을 받았던 명랑만화 캐릭터 '꺼벙이'가 현대적인 모습으로 재탄생합니다.
콘텐츠 기업 케이씨디컴퍼니는 14일 '꺼벙이' 탄생 55주년을 맞이하여 이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는 지식재산(IP) 확장 프로젝트를 진행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케이씨디컴퍼니
케이씨디컴퍼니는 '꺼벙이'의 원작자인 길창덕(1929∼2010) 화백의 저작권을 기반으로 콘텐츠 사업을 전개하는 기업으로, 지난해 설립되었습니다.
현재 길 화백의 자녀인 길혜연 씨가 대표를 맡고 있는데요. 이번 프로젝트에서 가장 중점을 두고 있는 부분은 '꺼벙이'를 숏폼 애니메이션으로 제작하는 것입니다.
기존의 네 칸 만화 속에 존재하던 꺼벙이 캐릭터는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생동감 있게 움직이는 모습으로 구현될 예정입니다.
완성된 숏폼 애니메이션은 네이버웹툰의 '컷츠' 플랫폼을 통해 대중에게 공개될 계획입니다.
길창덕 화백의 유산을 디지털 시대에 맞게 재조명
케이씨디컴퍼니
이번 프로젝트는 단순히 애니메이션 제작에만 그치지 않습니다.
케이씨디컴퍼니는 길창덕 화백 특유의 장난기 넘치면서도 경쾌한 손글씨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길창덕 체'도 개발했습니다.
이 서체는 앞으로 제작될 숏폼 애니메이션을 비롯한 '꺼벙이' IP 확장 사업에 다양하게 활용될 예정입니다.
경기콘텐츠진흥원은 고우영 화백의 '서유기'와 함께 '꺼벙이'의 숏폼 애니메이션 프로젝트를 지원하고 있으며, 박인하 서울웹툰아카데미(SWA) 이사장이 프로젝트 디렉터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케이씨디컴퍼니는 과거 잡지 '만화왕국'과 신문 '소년중앙', '소년조선일보'에 연재되었던 '꺼벙이' 시리즈를 한데 모은 완전판 출간도 준비 중입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더불어 '순악질여사', '재동이', '고집세' 등 길창덕 화백의 대표작들도 전집으로 복간할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꺼벙이'는 1970년 잡지 '만화왕국'에서 처음 독자들과 만났으며, 1973년부터 1977년까지는 '소년중앙'에서 연재되었습니다.
이후 1980년부터 1990년까지 '소년조선일보'에서 무려 1584회에 걸쳐 연재되며 많은 사랑을 받았습니다.
박인하 이사장은 "길창덕 선생님은 한국 만화 역사상 가장 오랜 시간 사랑받은 작가 중 한 분"이라며 "길창덕 만화에 나오는 여러 캐릭터에는 우리 모두의 어린 시절이 담겨있다"고 평가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