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15개 점포 폐점 및 무급휴직제 도입 '긴급 생존경영' 돌입
홈플러스가 임대료 협상이 진전되지 않은 15개 점포를 순차적으로 폐점하고 본사 임직원을 대상으로 무급휴직제를 시행하는 '긴급 생존경영' 체제에 돌입했습니다.
13일 홈플러스는 이러한 내용을 공식 발표하며 고강도 자구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습니다.
홈플러스 측은 회생절차 개시 이후 5개월이 지난 현재까지도 경영환경이 개선되지 않으면서 자금 압박이 심화된 것이 이번 조치의 배경이라고 설명했는데요.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사진=인사이트
앞서 지난 3월 회생절차에 돌입한 홈플러스는 전국 매장에서 정상 영업을 유지해왔으며, 임직원 고용을 유지하고 납품대금도 정상적으로 지급해왔습니다.
현금흐름 악화로 인한 불가피한 자구책 시행
회생 개시 후 5개월이 지났음에도 홈플러스는 신뢰도 하락으로 인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홈플러스 측은 일부 대형 납품업체들이 정산주기를 단축하거나 거래한도를 축소하고, 선지급과 신규 보증금 예치를 요구하는 사례가 증가하면서 현금흐름이 악화되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조주연 홈플러스 공동대표 / 뉴스1
이러한 상황에서 홈플러스는 인가 전 M&A가 성사되기 전까지 '임대료 조정 협상이 진전되지 않은 15개 점포를 순차적으로 폐점', '본사 임직원을 대상으로 무급휴직제도 시행', '임원 급여 일부 반납 조치'의 세 가지 주요 자구책을 시행할 방침입니다.
폐점 대상 점포는 시흥점, 가양점, 일산점, 계산점, 안산고잔점, 수원원천점, 화성동탄점, 천안신방점, 문화점, 전주완산점, 동촌점, 장림점, 부산감만점, 울산북구점, 울산남구점 등 총 15개 매장입니다.
조주연 홈플러스 공동대표는 이날 전 임직원에게 보낸 메시지를 통해 "지금과 같은 상황이 지속된다면, 인가 전 M&A를 통한 회생 자체가 위태로워질 수 있는 절체절명의 위기"라며 "더 이상 미룰 수 없어 최후의 생존 경영에 돌입하게 됐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