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질환으로 인한 충격적인 사례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30대 여성이 다량의 금속 못을 삼킨 사례가 의학계에 보고되었습니다.
지난 11일(현지 시간) 국제 학술지 큐레우스(Cureus)에 따르면 브라질 카주루 대학병원에 따르면, 양극성 정동장애와 경계성 인격장애를 앓고 있는 33세 A씨는 약 30일 전 다량의 못을 삼킨 후 응급실을 찾았습니다.
큐레우스
A씨는 병원 방문 5일 전부터 복통이 점차 심해지고 흑색변을 보기 시작했다고 호소했습니다.
다행히 A씨의 전신 상태는 양호했으며, 복부 압통과 가벼운 불편감은 있었으나 복막염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은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의료진이 실시한 복부 엑스레이 검사에서는 배 전체에 광범위하게 퍼진 다수의 못이 확인되었고, CT 촬영을 통해서도 위와 장 등에 많은 양의 금속 이물질이 발견되었습니다.
반복되는 이물질 섭취와 의료진의 치료 결정
A씨는 과거에도 유사한 이물질 섭취로 네 차례나 수술을 받은 이력이 있어 광범위한 복부 유착이 발생한 상태였습니다.
이물질의 수가 너무 많아 내시경으로 제거할 수 없었고, 의료진은 추가적인 개복술 대신 보존적 치료를 선택했습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진통제를 투여하면서 이물질이 자연스럽게 배출될 때까지 면밀히 모니터링하는 방법을 택한 것입니다.
18일간의 입원 기간 동안 지속적인 복부 방사선 촬영을 통해 못들이 점차 항문 쪽으로 이동하는 것이 확인되었고, 다행히 장 폐색이나 천공과 같은 위험한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결국 모든 못은 특별한 합병증 없이 완전히 제거되었으며, A씨는 정신과 병동에서 집중적인 추적 관찰을 받기로 하고 퇴원했습니다.
의료진은 "이 사례는 정신과 환자의 이물질 삼킴 사고가 재발하기 쉽다는 사실을 보여준다"며 "신중한 판단을 통해 개복술이 아닌 보존적 치료를 택하는 것이 때로 안전하고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한편, A씨가 앓고 있는 양극성 정동장애는 우울증보다 부작용이 심해 더 주의가 필요한 정신질환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질환은 자살시도율이 우울증보다 높다고 보고되었는데, 이는 계속 우울할 때보다 기분이 좋아졌다가 급격히 우울해질 때 감정 변화가 더 극단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전문가들은 양극성 정동장애가 의심될 경우 즉시 정신건강의학과 검사를 받을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