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애플 이미지센서 공급으로 수익성 향상 전망
JP모건이 최근 발표한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삼성전자가 애플에 공급하게 될 스마트폰 이미지센서의 수익성이 현재 시장 선두주자인 소니보다 높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미지센서는 카메라 렌즈를 통해 들어오는 빛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핵심 반도체 부품으로, 지금까지 아이폰에 탑재되는 이미지센서는 일본 소니가 독점적으로 공급해왔습니다.
6일(현지시간) 애플은 공식 발표를 통해 "삼성전자가 애플 제품에 전력 효율성과 성능을 최적화한 칩을 공급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업계에서는 애플의 신제품 개발 주기가 일반적으로 2~3년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이르면 2027년에 삼성의 이미지센서가 아이폰에 탑재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일본 도쿄에 위치한 소니 본사 / GettyimagesKorea
JP모건, 삼성 이미지센서의 높은 수익성 전망
JP모건은 7일 발표한 보고서를 통해 삼성전자의 웨이퍼당 이미지센서 평균판매단가(ASP)가 약 7000달러 수준으로, 소니의 6818달러보다 높을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이는 삼성전자의 기술력과 제품 경쟁력이 시장에서 인정받고 있음을 보여주는 지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더불어 JP모건은 2027년 삼성전자의 애플 이미지센서 관련 매출이 약 7억5000만 달러(약 1조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으며, 영업이익률도 두 자릿수(10% 이상)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JP모건은 "이미지센서는 고정비 효율성과 평균 판매 단가가 높아 수익성이 높은 사업"이라고 평가하며 삼성전자의 이미지센서 사업 전망을 긍정적으로 내다봤습니다.
뉴스1
삼성전자, 이미지센서 시장에서 새로운 도약 기회
아이폰에 탑재되는 이미지센서 시장은 2011년부터 소니가 독점해왔던 영역입니다. 이번 애플과의 계약으로 삼성전자는 2027년 애플 내 이미지센서 점유율을 10~20% 수준으로 끌어올리고, 중장기적으로는 30~40%까지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번 애플 납품 계약은 삼성전자가 '반도체 미래 먹거리'로 주목받는 이미지센서 시장에서 도약의 발판을 마련하게 된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이미지센서는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자율주행차, 휴머노이드 로봇 등 다양한 첨단 기술 분야로 적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어, 향후 성장 가능성이 매우 큰 시장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