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내장, 젊은 층에서도 증가... 조기 발견과 관리가 중요
최근 3대 실명질환 중 하나인 녹내장 환자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근시 증가와 함께 젊은 층에서도 환자 발생이 늘고 있어 눈 건강 관리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녹내장은 황반변성, 당뇨망막병증과 함께 주요 실명 원인으로 꼽히는 심각한 안과 질환입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Bank
의료계에 따르면 7일, 녹내장은 안압 상승이나 혈액 공급 장애 등 다양한 원인으로 시신경에 손상이 발생하는 질병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백내장과 혼동하지만, 두 질환은 완전히 다릅니다.
백내장은 수정체에 혼탁이 생기는 질환으로 수술을 통해 어느 정도 완치가 가능합니다. 반면 녹내장은 시신경 자체에 문제가 생기는 질환으로, 한번 손상된 시신경은 회복이 불가능하여 완치의 개념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시신경 손상의 다양한 원인과 위험 요소
녹내장의 발생 원인은 다양합니다.
안압 상승이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지만, 스테로이드 계열 약물 복용이나 고도 근시도 녹내장 발병 위험을 높입니다. 특히 유전적 요인도 중요한데, 부모가 녹내장인 경우 자녀의 발병 위험은 2~3배 높아지며, 형제 중 녹내장 환자가 있다면 발병 위험이 무려 7~8배까지 상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녹내장의 가장 큰 문제점은 초기에 뚜렷한 증상이 없다는 점입니다. 특히 국내 녹내장 환자들은 안압이 높지 않은 정상안압 녹내장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아, 자각증상 없이 병이 진행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로 인해 병원 내원이 늦어져 치료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빈번합니다.
녹내장 진단을 위해서는 시신경 검사와 시야검사 등 전문적인 검사가 필요합니다.
녹내장 치료는 약물치료를 기본으로 하며, 효과가 없을 경우 레이저치료나 수술치료로 진행합니다.
수술 후에도 지속적인 관리가 필수적인데, 수술 효과는 보통 5~10년 정도 지속됩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치료 보조 수단으로 혈류개선제나 항산화제를 복용할 수도 있습니다.
일상생활에서 녹내장 예방과 관리를 위해서는 안압을 높이는 행동을 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물구나무서기나 관악기 연주는 일시적으로 안압을 상승시킬 수 있으며, 어두운 곳에서 장시간 스마트폰 사용도 눈 건강에 좋지 않습니다.
넥타이를 너무 꽉 매는 것도 안압 상승의 원인이 될 수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또한 스테로이드 계열 안약이나 약물 사용 시에는 반드시 안압을 정기적으로 체크하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