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 속 차량 화재 위험 증가, 예방법은?
연일 계속되는 폭염으로 인해 차량 화재 및 폭발 위험이 높아지고 있어 운전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한국교통안전공단(TS)은 25일, 여름철 무더위가 지속되는 시기에는 자동차 화재 발생률이 평소보다 10~20% 증가한다고 경고했습니다.
특히 직사광선에 노출된 야외 주차 차량의 경우, 실내 온도가 최대 90도까지 상승할 수 있어 위험합니다. 이렇게 고온으로 달궈진 차량 내부에 보조배터리, 라이터, 전자기기, 음료수 캔 등을 방치하면 폭발하거나 가열되어 화재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뉴스1
한국교통안전공단의 실험 결과에 따르면, 간단한 조치만으로도 차량 내부 온도를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창문을 조금만 열어두어도 대시보드 온도는 6도, 실내 온도는 5도가 낮아졌으며, 앞 유리창에 햇빛 가리개를 설치하면 대시보드 온도는 20도, 실내 온도는 2도 감소하는 효과가 있었습니다.
효과적인 차량 열기 관리 방법
차량 주차 시 방향도 중요한 요소입니다.
공단은 차량 뒷부분이 유리창 면적이 작아 열 차단 효과가 상대적으로 높다고 설명했습니다. 따라서 한쪽 방향으로만 햇빛이 비치는 상황이라면, 차량의 앞부분보다 뒤쪽을 햇볕에 노출시키는 것이 실내 온도 상승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미 뜨거워진 차량 실내를 빠르게 식히는 방법도 있습니다.
폭염이 연일 계속되는 25일 오후 대구 중구 달구벌대로에서 양산을 쓴 시민이 아지랑이가 피어오르는 도로를 건너고 있다. 2025.7.25/뉴스1
조수석 창문을 연 상태에서 운전석 문을 여러 번 여닫는 방식으로 열기를 배출할 수 있는데, 이 간단한 방법만으로도 대시보드 온도는 8도, 실내 온도는 5도 정도 낮아지는 효과가 있었습니다.
화재 발생에 대비해 차량용 소화기는 반드시 운전석 가까운 실내에 비치하고, 평소에 그 위치를 잘 숙지해 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소화기를 트렁크에 보관할 경우, 정작 필요할 때 신속하게 접근하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뉴스1
한국교통안전공단은 여름철 장거리 운행을 계획하고 있다면 출발 전 엔진오일 누유 여부, 냉각수 상태, 타이어 공기압 등을 꼼꼼히 점검할 것을 강조했습니다. 또한 장시간 내기순환 모드로 에어컨을 사용하면 차량 내 이산화탄소 농도가 증가하거나 외부 배기가스가 유입되어 졸음운전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외기순환 모드를 사용하거나 주기적으로 환기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