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국제결혼 트렌드의 변화
한국인 남성과 일본인 여성 간의 국제결혼이 최근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의 배경에는 한국의 향상된 경제력과 지속적인 한류 인기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13일(현지시간)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코로나19 대유행 이전인 2019년과 2024년을 비교한 결과, 한국인이 중국·필리핀·베트남 국적자와의 결혼은 감소한 반면, 일본인과의 혼인은 13% 증가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이는 국제결혼 트렌드에 있어 주목할 만한 변화를 보여주고 있는데요.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한국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인 남성과 일본인 여성 간의 결혼 건수는 전년 대비 40% 증가한 1,176건으로, 최근 10년간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반면 한국인 여성과 일본인 남성 간의 결혼은 같은 기간 147건으로, 10년 전과 비교해 5분의 1 수준에 그쳤습니다. 이러한 통계는 양국 간 결혼 패턴에 뚜렷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경제력 격차 축소와 한류의 영향
닛케이는 이러한 변화의 주요 배경으로 한일 간 경제력 격차 축소를 지목했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2010년대 중반 이후 한국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일본인 여성들의 한국 이주 사례가 증가했으며, 그 사이 1인당 명목 국내총생산(GDP)에서 한국이 일본을 추월하면서 한국인 남성과 일본인 여성 간의 소득 수준도 유사해졌다고 분석했습니다.
한류의 영향력 또한 이러한 트렌드를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KBS '겨울연가'
닛케이는 "2000년대 초반부터 일본에서 큰 인기를 끈 한국 드라마 '겨울연가' 등을 통해 한국 문화를 접한 세대가 자녀나 손자가 한국인과 결혼하는 것을 더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분위기가 형성됐다"고 전했습니다.
한 웨딩업체 관계자도 "결혼 전부터 한국 문화를 잘 알고 있는 일본인 여성도 적지 않다"고 설명했습니다.
국제결혼 패턴의 역사적 변화
과거 1970~1980년대에는 일본의 높은 경제력과 농촌 일손 부족 등으로 한국인 여성이 일본인 남성과 결혼해 일본에 정착하는 사례가 많았습니다.
또한 1980~1990년대에는 통일교 합동결혼을 통해 일본인 여성이 한국으로 건너오는 경우가 증가했었는데요. 이러한 과거의 흐름과는 달리, 최근에는 일본인 여성들이 한국에 직접적인 관심을 갖고 자발적으로 결혼을 선택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합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홍익대학교의 오이카와 히로에 교수는 "혼인을 계기로 한국에 정착한 일본인 여성 중 30~40%는 한국에 대한 동경과 삶의 보람을 주된 이유로 꼽는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그는 "2019년 한국 내 일본 제품 불매운동 당시, 일본인 여성의 95%가 불안감을 느꼈다"며 "이들은 한일 관계가 언제든 악화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하고 있다"고도 지적했습니다.
닛케이는 이러한 국제결혼의 증가 추세를 "민간 외교의 최전선"이라고 표현하며, 결혼을 통한 양국 간 교류가 지속되기 위해서는 정치적·외교적 안정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