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금융그룹, 저출생 극복 위한 선도적 노력 인정받아
KB금융그룹이 지난 9일 주형환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로부터 저출생 극복 지원과 일·가정 양립 환경 조성을 선도한 공로를 인정받아 감사패를 수상했습니다.
주형환 저고위 부위원장은 "(양 회장은)사내 일·가정 양립환경 조성뿐만 아니라, 소상공인들까지 출산휴가·육아기 단축근무를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등 아이를 낳고 키우기 좋은 사회 문화 확산에 많은 기여를 했다"고 수상 이유를 밝혔습니다.
양종희 KB금융그룹 회장과 주형환 저출생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이 지난 9일 여의도 KB국민은행 신관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는 모습 / 사진=KB금융 제공
실제로 양종희 KB금융 회장은 저출생 문제에 깊은 관심을 갖고 아이 키우기 좋은 환경 조성에 앞장서 왔습니다.
양 회장의 이러한 경영 철학을 바탕으로 KB금융그룹은 일과 가정이 양립할 수 있는 문화를 조성하고 돌봄 공백을 해소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전개해 왔습니다.
특히 그룹 내부 복지제도뿐만 아니라 사회 저변에 확대했다는 데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소상공인 저출생 대책 사각지대 해소 위한 135억 지원
KB금융그룹의 저출생 극복 노력 중 가장 주목할 만한 사업은 소상공인 지원입니다.
사진 제공 = KB금융그룹
출산휴가와 육아휴직 등 저출생 대책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던 소상공인들을 위해 서울특별시를 비롯한 전국 주요 지자체와 협력하여 총 사업비 135억 원을 지원하는 업무협약을 체결했습니다.
이 협약을 통해 KB금융그룹은 출산휴가·육아휴직 대체인력 인건비 지원, 아이돌봄서비스 제공, 출산·육아 응원금 지급 등 소상공인 맞춤형 저출생 지원사업을 적극적으로 펼치고 있습니다.
이는 사회적 약자인 소상공인들도 출산과 육아에 대한 부담을 덜고 일과 가정을 양립할 수 있도록 돕는 의미 있는 지원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 임직원 대상 혁신적 가족친화 제도 운영
KB금융그룹의 저출생 극복 노력은 그룹 내부에서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사진 제공 = KB금융그룹
주요 계열사인 KB국민은행은 일과 가정의 양립 및 저출생 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임직원 복지 제도를 운영 중입니다.
육아를 위한 재채용 조건부 퇴직 제도, 출생 장려금 지원, 난임 의료비 지원 강화, 배우자 출산 휴가 확대,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이용 활성화 등 다양한 제도가 시행되고 있습니다.
특히 2023년 말 금융권 최초로 도입한 '재채용 조건부 퇴직 제도'는 혁신적인 제도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 제도는 2년의 육아휴직 기간을 모두 사용한 직원을 대상으로 퇴직 시 3년 후 재채용 기회를 제공해 총 5년의 육아 기간을 보장합니다.
재채용 시에는 별도 채용 절차 없이 퇴직 전 직급이 유지되어 경력 단절 문제도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은 올해부터 육아휴직 기간도 2년에서 2년 6개월로 확대하고, 초등학교 입학기 근로시간 단축제도를 개선하는 등 양육 친화적인 제도를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육아휴직을 사용하는 남성 직원의 수도 2022년 85명에서 지난해 152명으로 크게 증가했습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KB국민은행의 출생 장려금 제도 역시 파격적입니다.
자녀 1명당 최대 2000만원을 지원하는데, 첫째 1000만원, 둘째 1500만원, 셋째 이후 2000만원을 지급합니다. 또한 본인 또는 배우자의 난임 치료 시 1000만원을 지원하며, 배우자 출산휴가도 20일을 제공합니다.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신청 대상도 '12세 이하 자녀 부모직원'으로 폭넓게 설정하여 많은 직원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했습니다.
KB금융그룹의 이러한 다각적인 노력은 저출생 문제 해결을 위한 민간 기업의 모범적인 사례로 평가받고 있으며, 이번 감사패 수상은 그 공로를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결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한편, 주 부위원장은 "정부도 자영업자·특수고용직 등 고용형태에 관계없이 일하는 부모라면 육아지원제도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제도의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며 "올해 수립중인 제5차 저출산·고령화 기본계획에 육아지원제도 활용가능 대상 확대를 포함하는 등 일·가정 양립문화 확산을 위한 정책적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