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액 알레르기, 성관계 후 불편함의 원인일 수 있어
성관계 후 생식기 부위에 가려움이나 화끈거림을 느끼거나 숨이 차는 증상이 나타난다면, 이는 정액 알레르기 때문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정액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은 많은 사람들이 인지하지 못하는 건강 문제인데요, 이러한 증상이 지속된다면 전문의와 상담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정액 알레르기는 1967년에 한 여성이 성관계 이후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으로 병원에 입원하면서 의학계에 처음으로 보고되었습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현재 의학적으로 정액 알레르기는 꽃가루 알레르기(건초열), 견과류 알레르기, 동물 비듬 알레르기 등과 같은 범주인 '1형 과민 반응'으로 분류되고 있어요.
정액 알레르기의 원인과 발생 빈도
영국 맨체스터 메트로폴리탄대학교 생식의학과의 마이클 캐럴 교수는 해외 매체 'The Conversation'과의 인터뷰에서 중요한 사실을 밝혔습니다.
그에 따르면, "알레르기 반응은 정자 세포 자체가 아니라 정자를 운반하는 체액에 의해 유발된다"고 설명했습니다.
1977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보고된 정액 알레르기 환자는 100명 미만이었습니다. 그러나 알레르기 전문의 조나단 번스타인이 주도한 연구에 따르면, 생식기 통증으로 병원을 찾은 여성 중 약 12%가 정액 알레르기를 앓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합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이는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이 문제로 고통받고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캐럴 교수는 "정액 알레르기의 주요 알레르겐(알레르기 항원)은 정액에 포함된 전립선 특이 항원(PSA)으로 보인다"며, "정액 원액이 묻지 않은 세척된 정자로 검사했을 때에는 어떠한 알레르기 반응도 일어나지 않았다"고 덧붙였습니다.
한국에서의 정액 알레르기 현황
한국에서도 정액 알레르기와 유사한 증상을 호소하는 여성들이 과거에 비해 크게 증가했습니다.
대구코넬비뇨기과의 이영진 원장은 "병원을 찾는 여성 환자 중 정액 알레르기 증상을 보이는 사람이 꽤 늘었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그는 "정액 알레르기 증상과 기존 성병 증상이 매우 흡사하기 때문에 문제의 원인을 정액이라고 단정 짓기에는 어려움이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정액 알레르기가 있거나 헤르페스, 트리코모나스와 같은 성병에 감염된 환자들은 배뇨통, 성기 주변의 가려움과 발진, 질 내 냄새 및 분비물 증가 등의 증상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이 나타날 경우 정확한 진단을 위해 전문의를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정액 알레르기와 임신 계획
정액 알레르기가 있는 여성이 임신을 계획 중이라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이영진 원장은 탈감작 치료를 추천했습니다. 이는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원인 물질을 아주 소량부터 시작해 서서히 양을 늘려가며 투여함으로써 몸의 면역계를 길들이는 방법입니다.
이 원장은 "그럼에도 고통이 사그라지지 않는다면 인공수정, 시험관 시술 등 보조생식술을 통해 임신을 시도할 수 있다"고 조언했습니다. 이러한 방법들은 정액과의 직접적인 접촉 없이 임신을 가능하게 해 알레르기 반응을 피할 수 있게 해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