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클럽 월드컵, 낙뢰로 인한 경기 중단 논란
"이건 축구가 아니다." 지난 29일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샬럿의 뱅크 오브 아메리카 스타디움에서 펼쳐진 첼시와 벤피카의 2025 FIFA 클럽 월드컵 16강전이 무려 4시간 38분이라는 비정상적인 시간 동안 진행됐다.
이 경기가 연장전까지 이어진 혈투였다고는 하지만, 경기 시간이 비정상적으로 길어진 주된 원인은 낙뢰였다.
뱅크 오브 아메리카 스타디움 / GettyimagesKorea
당시 첼시가 1-0으로 앞서던 후반 40분, 낙뢰를 동반한 기상 악화로 경기가 117분간 중단됐다. 약 2시간의 중단 후 재개된 경기에서 벤피카는 동점골을 성공시키며 경기를 연장으로 끌고 갔다.
결국 연장전에서 3골을 추가한 첼시가 4-1로 승리했지만, 엔조 마레스카 첼시 감독은 "우리가 85분 동안 경기를 지배했다. 그러나 중단 이후 경기 양상이 완전히 달라졌다. 이건 축구가 아니다"라며 강한 불만을 표출했다.
클럽 월드컵 전체를 위협하는 낙뢰 문제
이번 대회에서 낙뢰로 인한 경기 지연은 첼시-벤피카전만의 문제가 아니었다.
K리그 대표로 출전한 울산 HD는 지난 18일 마멜로디 선다운스와의 첫 경기에서 낙뢰 예보로 인해 예정보다 65분 늦게 경기를 시작했다.
GettyimagesKorea
이외에도 파추카-잘츠부르크, 팔메이라스-알아흘리, 벤피카-오클랜드, 보카 주니어스-오클랜드 등 여러 경기가 낙뢰로 중단된 바 있다.
미국에서는 '8마일(12.9㎞) 낙뢰 규정'이라는 안전 원칙이 있다.
이 규정에 따르면 야외 스포츠 활동 중 8마일 내에 낙뢰가 확인되면 즉시 안전한 장소로 대피해야 한다.
30분간 낙뢰가 발생하지 않으면 활동을 재개할 수 있지만, 그 사이에 낙뢰가 다시 확인되면 30분을 추가로 기다려야 한다.
이러한 엄격한 규정은 최근 미국에서 낙뢰로 인한 사망자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GettyimagesKorea
미국 기상청(NWS) 분석에 따르면 탄소배출 증가와 대기 불안정성으로 인해 낙뢰 발생 빈도가 과거보다 높아졌다.
2015년부터 올해까지 낙뢰로 인한 사망자는 200명을 넘어섰다.
2026 월드컵에도 영향 우려
더 큰 문제는 이러한 낙뢰 문제가 내년 미국에서 개최되는 월드컵에서도 재발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스포츠 전문매체 디 애슬레틱과의 인터뷰에서 NWS 운영 책임자 벤 쇼트는 "현재 미국에서 발생하는 낙뢰는 매우 일반적이다. 전혀 이례적인 일이 아니다"라며 "이 시기에 뇌우가 발생하는 것은 흔한 일이다. 3~5일, 길게는 일주일 내내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장시간 중단되는 경기는 월드컵에서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울산을 이끌고 클럽월드컵에 참가해 미국의 기상 상황을 직접 경험한 김판곤 감독은 "낙뢰로 경기가 중단됐을 때 선수들이 집중력을 잃어버릴 수 있다. 중단된 시간을 관리하는 방법을 대표팀이 고민해 봐야 한다"고 조언했다.
클럽 월드컵 우승을 노리는 팀들과 내년 월드컵 참가국들은 경기 중 발생할 수 있는 낙뢰 중단 상황에 대한 대처 방안을 마련해야 하는 상황이다.
낙뢰로 인한 경기 중단은 어떤 팀에게는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지만, 다른 팀에게는 반전의 기회가 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