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드름 짜고 불분명한 약 바른 베트남 10대 소녀, 패혈증으로 사망
베트남에서 15세 소녀가 손으로 여드름을 짜고 출처 불명의 약을 바른 후 세균 감염으로 사망하는 안타까운 사고가 발생했다.
지난 27일 베트남 매체 뚜오이뜨레 등의 보도에 따르면, 하노이 국립열대성질환병원은 15세 A양이 얼굴의 염증성 여드름을 손으로 짜고 성분을 알 수 없는 약을 바른 후 심각한 감염으로 목숨을 잃었다고 밝혔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병원 측 설명에 따르면, A양의 얼굴에 생긴 여드름 부위를 통해 황색포도상구균이 침투했으며, 이 균이 빠르게 번식해 뇌와 폐에 심각한 손상을 입혔다. 의료진은 인공호흡기를 달고 집중 치료를 시행했으나, 결국 A양은 패혈성 쇼크로 사망했다.
유사 사례로 본 여드름 짜기의 위험성
국립열대성질환병원은 또 다른 사례로 32세 여성 B씨의 경우도 공개했다. B씨는 병원 입원 6일 전 손으로 이마의 여드름을 짜고 여드름 치료제를 발랐다.
이후 며칠 동안 이마가 붓고 빨갛게 변하면서 고름이 생겨 왼쪽 눈까지 퍼졌으며, 고열과 심한 통증이 동반됐다.
B씨는 처음에 개인 병원에서 이틀간 치료를 받았으나 상태가 호전되지 않아 국립열대성질환병원으로 이송됐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그곳에서 B씨는 연조직염(피부와 피하 조직에 생긴 급성 세균성 감염증) 진단을 받았다. 이 질환은 조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패혈증으로 발전하거나 심각한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위험한 상태였다.
다행히 B씨는 적절한 시기에 전문적인 치료를 받아 회복할 수 있었다.
국립열대성질환병원 피부과 전문의 응우옌 티 호아 박사는 "깨끗하지 않은 손으로 여드름을 짜면 피부가 손상되고 박테리아가 깊숙이 침투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피부 농양이나 패혈증까지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손으로 여드름 부위를 만지거나 짜지 말고, 출처가 불분명한 여드름 치료제 사용을 피하며, 피부 문제는 반드시 전문 병원에서 치료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화장할 때는 모공을 막지 않는 제품을 선택하고, 화장 후에는 깨끗이 지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