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과 삶을 잇는 시적 여정, 박규현 시인의 두 번째 시집 '새 우정을 찾으러 가볼게'
지난 2022년 한국경제신문 신춘문예를 통해 문단에 데뷔한 박규현 시인이 삼 년 만에 두 번째 시집 '새 우정을 찾으러 가볼게'를 문학동네시인선 233번으로 출간했다.
첫 시집 '모든 나는 사랑받는다'에서 날카로운 언어로 여성 시인의 현실을 그려냈던 박규현은 이번 작품에서 상실의 경험을 통해 죽음의 본질을 이해하고 삶과 연결하려는 초연한 시도를 담아냈다.
사진 제공 = 문학동네
이번 시집은 소중한 이들의 부재라는 커다란 상실감을 직면하는 과정을 담고 있다.
시인에게 세상은 사랑하는 이들이 떠나가도록 만든 증오의 대상이면서도, 남겨진 이들이 발붙이고 살아가야 할 터전이라는 모순적 공간으로 그려진다.
시인은 이 불가사의한 문제를 정면으로 응시하며 삶의 의미를 찾아 분투하는 여정을 시로 풀어냈다.
'친구'를 통해 죽음과 삶을 연결하는 시적 세계
문학평론가 최가은이 해설에서 언급했듯, 이 시집은 "떠난 친구를 위한 애도의 말 같은 것이 아니라, 친구 그 자체를" 쓰고 있다.
시집 전반에 걸쳐 '친구'라는 존재가 끊임없이 등장하며, '묘비', '무덤', '장례'와 같은 시어들이 함께 어우러져 죽음의 그림자를 드리운다.
1장 '쓰러질 준비를 한다 이동할 차례이다'에서는 "머리카락을 쥐어뜯"거나 "베란다 창 가까이 서"서 "바깥을 내다보"는 위태로운 친구의 모습이 그려진다.
화자는 이를 일정한 거리를 두고 지켜보는데, 이는 서로 다른 세계에 놓인 존재들 간의 간극을 암시하면서도 유령 같은 친구가 사라질까 염려하는 마음을 담고 있다.
2장 '가장 환한 곳으로 가자'에서는 '아오타다라'라는 가상의 공간이 펼쳐진다. 이 장에 수록된 여덟 편의 작품이 모두 '아오타다라'라는 동일한 제목을 가진 점이 특징적이다.
여기서 친구는 "삼작년 스스로 유령의 길을 택"한 존재로, 시인은 부당한 세상을 떠난 그의 선택을 "그것은 그의 용기"라고 표현한다.
상실을 통해 삶의 의미를 재발견하는 여정
시인은 "친구의 이마는 차고 물렁하다"거나 "친구의 맨발이 창백하다"는 섬세한 관찰을 통해 함께 할 수 있었던 수많은 가능성을 그려보면서도, "양지바른 자리에 친구를 천천히 뉘일" 준비를 한다. 이러한 상실의 경험은 역설적으로 삶의 빈틈을 채우는 과정이 된다.
3장 '나를 껴안은 친구를 껴안아'에서 화자는 매정한 현실과 본격적으로 마주한다.
"크리스마스 나이"라는 표현이나 "손목 부러뜨릴 수 있겠다"는 차별적 언행이 난무하는 폭력적 세계 속에서 홀로 살아가야 함을 인식한다. 이러한 "멀쩡한 세상과의 부당한 단절"은 그럼에도 "서서히 늙어갈 수 있음"과 "오래 버티는 거 해야" 함을 받아들이는 과정으로 이어진다.
4장 '애써 사랑하고 있다 이 모든 장면을'에서는 "월경 컵 때문에 구급차 부를지 말지 고민"하거나 "여자는 음기 있는 동물이다"라는 폭력적 언어로 가득한 현실을 마주한다.
"사년제 대학"을 나오고 "신체 장애도 정신 질환 이력도" 없기를 요구하는 사회적 압박 속에서도, 시인은 "고집스럽게 살아남아" "이 모든 장면이 낯설"지만 "애써 사랑하고 있다"고 선언한다.
새로운 형태의 우정을 모색하는 시적 여정
5장 '한 세기의 용감함이 눈을 부라리고 있다'에서 세상을 저버린 친구의 결정은 '용감함'으로 재해석된다.
세상살이에 "아는 바가 없"지만, 손톱 위 거스러미처럼 어떤 필연적인 일은 반드시 "생겨나고 일어나"기 마련이라는 깨달음을 얻는다.
시인에게 애도란 단순히 마음을 추스르고 추억을 정리하는 과정이 아니라, 그리운 이를 끊임없이 불러들여 계속해서 연결되기를 꿈꾸는 행위다.
1장부터 5장, 그리고 '추신,'으로 마무리되는 이 시집은 편지와도 같은 형태로 독자에게 전달된다.
"이승에서 저승까지" 아우르는 새로운 우정의 형태를 모색하며, 영원히 기억될 이야기로 남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