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이란 최고지도자 '제거' 협박하며 '무조건 항복' 강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란을 향해 '무조건 항복(UNCONDITIONAL SURRENDER)'을 강요했다.
지난 17일(현지 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SNS인 트루스소셜에 "이란 상공에 대한 제공권을 완벽하게 확보하고 있다"며 "이란은 좋은 상공 추적 시스템과 방공 장비를 충분히 갖추고 있지만, 미국 것에 비할 수는 없다"고 주장했다.
이때 '제공권'은 공군력으로 어느 지역의 공중, 즉 하늘을 지배하는 능력을 뜻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 GettyimagesKorea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이란의) 최고지도자가 어디에 숨어 있는지 정확히 알고 있다"며 "매우 쉬운 표적이지만, 적어도 지금은 우리가 그를 제거할 생각은 없다"고 덧붙였다.
또 "민간인에게나 미군에게나 미사일이 발사되는 것은 원치 않는 일"이라면서도 "우리의 인내심이 바닥나고 있다"며 이란이 무조건 항복할 것을 촉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이스라엘과 이란의 공방 문제로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장을 떠나 미국으로 돌아오면서도 '이란의 무조건적인 핵 포기'만이 현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알리 하메네이 이란 최고지도자 / GettyimagesKorea
또 상황의 심각성을 강조하면서 "테헤란의 모든 사람들은 즉시 떠나야 할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실제 트럼프 대통령의 이 같은 발언 직후 이란의 수도인 테헤란에서는 대규모 피난 행렬이 생겼다.
이후 실제로 테헤란 북부인 3구에 있는 이란 국영 방송사 본사가 이스라엘에 두 차례 공습을 당했다.
이스라엘의 공격으로 불타고 있는 이란 테헤란의 석유 창고 / Gettyimages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