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 지원 후 연락 끊긴 아들, 서운한 아버지의 사연
60대 남성 A 씨가 결혼 때 목돈을 보태줬음에도 이후 연락이 뜸해진 아들로 인해 서운함을 토로해 안타까움을 자아내고 있다.
지난 21일 JTBC '사건반장'에서 공개된 사연에 따르면, A씨는 30년 전 아내와 이혼한 후 10년이 지나 아들이 재혼한 엄마 곁을 떠나 함께 살고 싶다며 찾아왔다고 밝혔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A씨는 일이 바빠 아들과 돈독한 관계를 유지하지는 못했지만, 대학 학비까지 지원해주었고 졸업 후 아들은 원하던 대기업에 입사해 독립했다.
그러다 2년 전, 아들이 임신한 여자 친구를 데려와 "여자 친구 배가 부르기 전에 결혼식을 올려달라"고 요청했다. 당시 모아둔 목돈이 많지 않았던 A씨는 무리하게 돈을 빌려 보태줬고, 그해 7월 아들은 무사히 결혼할 수 있었다.
단절된 부자 관계, 손주 보고 싶은 마음에 먼저 연락
하지만 결혼 이후 아들과의 연락이 끊겼다.
A씨는 "두 달 뒤였던 추석을 시작으로 이듬해 설날, 제 생일 때까지 전화 한 통 없었다"며 서운함을 드러냈다. 원래는 집에도 찾아오던 아들이었지만, A 씨는 부담을 주고 싶지 않아 일부러 연락하지 않았다고 한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결혼 1년쯤 되었을 때, 손주가 보고 싶어 먼저 연락했다는 A씨는 "어머니가 증손주 주라고 챙겨준 용돈도 두둑하게 들고 아들 집에 찾아가 '서운하다'고 털어놨다"고 말했다.
아들은 "미처 생각을 못 했다"며 미안하다고 했지만, 그 이후로도 추석과 설날까지 연락이 없었다고 토로했다.
A씨는 "이젠 제가 상처받을까 봐 먼저 연락하기도 두렵다"며 "주변 사람들은 요즘 애들은 다 그렇다며 위로하지만, 너무 무심한 아들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제 마음이 편해질까요?"라고 물었다.
전문가와 누리꾼들의 다양한 의견
이에 박상희 심리학과 교수는 "아버님께서 너무 서운하실 것 같다"면서도 "서운한 감정은 조금 내려놓고 차분하게 생각해보라"고 조언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그는 "아들도 어린 나이에 대기업 다니고 갓난아기 키우면서 결혼 생활에 적응하느라 정신없는 시기"라며 이해를 당부했다. 동시에 "굉장히 괘씸한 건 있다. 그 부분에 대해 따끔하게 가르치면 된다"고 덧붙였다.
누리꾼들은 "명절, 생일 때 연락 없으면 그냥 손절해라", "찾아뵙지는 않더라도 연락은 드려야 하는 거 아닌가?", "그럴 거면 결혼도 자기 돈으로 해야지" 등의 반응을 보였다.
반면 일각에서는 A씨에게도 책임이 있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한 누리꾼은 "아들이 부모님 이혼하면서 어디에도 안정감을 느끼지 못하고 살았을 것"이라며 "아들과 나쁘지 않은 관계라고 한 건 사연자의 생각일 뿐, 아들의 상처는 들여다보지 않은 것 같다"고 지적했다. 또한 "명절조차 안 찾아왔다면 아들만의 문제가 아니라 두 사람이 쌓아 온 관계가 그것밖에 안 된 걸 수도 있다"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