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담숲 인근에 서식지 조성...김대립 명인·사회적기업과 협업
LG가 생물 다양성 보존과 생태계 복원을 위한 사회공헌 활동의 일환으로 멸종 위기에 처한 토종 꿀벌 보호에 나선다. 산업과 환경이 공존하는 지속 가능한 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한다는 취지다.
지난 19일 LG는 계열 재단인 LG상록재단이 운영하는 경기 광주 화담숲 인근 정광산에 토종 꿀벌 서식지를 조성하고 '토종 꿀벌 키우기' 사업을 본격화한다고 밝혔다.
초기 단계로는 국내 자생종인 '한라 토종벌' 100만 마리를 방사했으며, 오는 2027년까지 매년 개체 수를 두 배씩 늘려 400만 마리까지 증식한다는 계획이다.
사진제공=LG
꿀벌은 전 세계 100대 주요 농작물 중 70여 종의 수분(受粉)에 관여하는 중요한 매개체로, 개체 수 감소는 식량 위기와 생태계 붕괴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국내 토종 꿀벌은 2000년대 들어 낭충봉아부패병 등의 영향으로 개체 수가 98%가량 급감하며 멸종 위기에 처한 바 있다.
밀원수 자원 풍부한 화담숲...안정적 서식 여건 확보
화담숲 인근 정광산은 밀원수(꿀샘 나무)와 다양한 자생 식물이 자라는 지역으로, 꿀벌이 안정적으로 정착하고 먹이 활동을 지속하기에 적합한 환경을 갖췄다는 평가다. LG는 향후 꿀벌 생태계 복원을 위해 밀원 식물의 종류와 수량도 단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번 프로젝트는 40년 넘게 토종 꿀벌을 육성해온 김대립 대한민국 토종벌 명인 1호와 양봉 사회적기업 '비컴프렌즈'와의 협업으로 진행된다. 김 명인은 토종벌 인공 분봉법, 여왕벌 관리 장치 등 9건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해당 기술을 기반으로 한 꿀벌 정착과 증식 관리에 참여한다.
김대립 명인은 "꿀벌은 생태계를 지탱하는 기초 생물 중 하나이며, 사라질 경우 인류의 식량 체계에도 타격이 올 수 있다"며 "LG와의 협업을 통해 토종벌 복원 기술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사진제공=LG
농가 지원·장애인 일자리 연계 등 ESG 확장성 기대
LG와 김 명인, 비컴프렌즈는 6월까지 100만 마리의 꿀벌이 서식지에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집중 관리하고, 이후 400만 마리까지 증식이 이뤄지면 피해 농가에 꿀벌을 분양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이 과정에서 양봉은 발달장애인의 직업 훈련과 사회 참여의 통로로도 활용될 전망이다.
김지영 비컴프렌즈 대표는 "양봉은 발달장애인들에게 자립을 위한 중요한 도구가 될 수 있다"며 "LG와의 협업은 일자리 창출을 넘어 사회 통합의 기회를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LG 관계자는 "자연과 인간이 공존할 수 있는 환경, 그리고 생물 다양성 회복을 위한 실천을 지속적으로 이어갈 것"이라며 "ESG경영의 일환으로 생태계 회복과 사회적 가치 창출을 함께 추구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