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오버투어리즘으로 인한 온천수 부족 문제
일본이 코로나19 이후 오버투어리즘으로 인한 온천수 급감 문제에 직면했다.
외국인 관광객들이 선호하는 1인용 온천탕의 급증이 온천수 부족의 주요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일본 주요 온천지역에서는 정부 권고에 따라 숙박하지 않는 당일치기 여행객의 입욕을 금지하거나 심야시간 영업을 제한하는 조치를 취하고 있다.
일본 사가현 우레시노 온천 전경. 트립어드바이저 홈페이지
NHK에 따르면 사가현 우레시노 온천은 최근 물 부족이 심화되고 있으며, 수심은 2020년 평균 50m에서 지난해 39.6m로 줄었다.
홋카이도의 니세코 온천도 2021년 이후 수심이 15m 감소해 물부족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일본관광청은 지난해 외국인 관광객 수가 3680만 명으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우레시노시의 한 자연 온천,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Tabirai
온천수 부족 문제는 특히 대중목욕탕 문화에 익숙하지 않은 서양 관광객들을 위해 호텔과 숙박업체들이 객실마다 소규모 온천탕을 설치하면서 심화됐다.
CNN은 서양 관광객들이 대중목욕탕 대신 1인용 온천탕을 선호한다고 전했다. 이로 인해 많은 호텔과 숙박업체들은 더 많은 객실에 소규모 온천탕을 만들고 있다.
물 부족이 심각해지자 일본 내 주요 온천 지역들은 입욕제한 조치를 강화하고 있다. 많은 호텔 및 숙박업체들이 정부로부터 심야 시간대 온천장 영업 제한 요구를 받았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밤 12시부터 새벽 5시 사이 심야시간 영업을 금지하고 일부 온천에서는 겨울 성수기에 당일치기 방문객들의 입욕을 제한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오버투어리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입국세와 숙박세를 도입했다. 입국세는 기존 1000엔에서 5000엔으로 인상을 검토 중이며, 각 지자체도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숙박세를 신설하고 있다.
올해 숙박세를 도입한 지자체는 14곳으로 늘었으며, 현재 43곳이 도입을 검토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