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아이폰 334만원? 상호관세 여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발표한 상호관세 여파로 애플의 아이폰의 가격이 최대 334만 원에 이를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4일(현지 시간) 로이터 통신은 애플이 관세 부과에 따른 비용을 소비자에게 모두 전가한다고 가정했을 때 아이폰의 가격이 30%~40%까지 인상될 수 있다고 보도했다.
전날 미국이 중국에 기존에 적용해 온 20% 관세에 추가로 34%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애플은 대부분의 아이폰을 중국에서 생산하고 있다.
GettyimagesKorea
같은 제품을 생산하는데 세금 인상 등의 이유로 비용이 추가로 발생하는 경우 기업은 해당 비용을 그대로 흡수할지, 비용의 일부 혹은 전부를 제품 가격에 더해 소비자 부담으로 돌릴지 선택해야 한다.
만약 애플이 후자를 선택할 경우 아이폰의 가격을 43% 인상해야 관세를 충당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로젠블래트 증권(Rosenblatt Securities) 분석에 따르면 미국에서 799달러(한화 약 116만 원)에 출시된 아이폰16 시리즈 기본형은 관세 인상 시 최대 1,143달러(한화 약 166만 원)에 이를 수 있다. 또 가장 비싼 모델인 아이폰16 프로 맥스의 경우 기존 1,599달러(한화 약 232만 원)에서 2,287달러(한화 약 332만 원)로 오르게 된다.
다만 상호관세는 미국으로 수입되는 제품에 대한 것으로, 이처럼 인상된 가격은 미국 내에서만 적용된다.
GettyimagesKorea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1기 때에도 중국산 제품에 관세를 부과하여 미국의 제조업이 미국이나 멕시코로 공장을 이전하도록 압력을 가해왔다. 그러나 애플은 이로부터 면제되는 특혜를 받았다. 하지만 이번에는 애플이 면제를 받지 못한 상황이다.
로젠블래트 증권의 분석가 바튼 크로켓(Barton Crockett)은 "이번 중국 관세는 미 대표 기업인 애플이 지난번처럼 특혜를 받을 것이라는 우리의 예상과 전혀 다르게 전개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애플이 파산할 수도 있다. 최대 400억 달러(한화 약 68조 1,000억 원)의 손실을 입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관련해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 리서치(Counterpoint Research)의 공동 창립자 닐 샤(Neil Shah)는 "애플이 중국에 대한 상호관세를 상쇄하기 위해서는 평균 30%의 가격이 필요하다"고 봤다.
GettyimagesKorea
그러나 애플이 스마트폰의 경쟁이 치열한 오늘날 아이폰의 가격을 갑자기 큰 폭으로 올리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예측도 나온다.
CFRA 리서치의 주식 분석가 안젤로 지노(Angelo Zino)는 "애플이 관세로 인한 추가 비용의 5~10% 이상을 소비자에게 전가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애플은 매년 가격 인상을 계획적으로 진행하는데 아이폰 17 출시 예정인 올가을까지는 주요 가격 인상을 보류할 가능성이 크다"는 의견을 냈다.
이날 로이터 통신은 애플이 가격 인상을 단행할 경우 "한국의 삼성전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