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토르 안 / 뉴스1
러시아로 귀화한 쇼트트랙 선수 빅토르 안(39·안현수)이 러시아 빙상계에서 '러시아 쇼트트랙의 상징'으로 평가받고 있다.
17일 러시아 타스 통신에 따르면, 니콜라이 굴랴예프 러시아 빙상연맹 회장은 모스크바에서 열린 러시아 쇼트트랙 40주년 기념행사에서 "빅토르 안은 러시아 쇼트트랙의 상징"이라며 그의 업적에 감사를 표했다.
굴랴예프 회장은 빅토르 안이 올해 40세가 되는 것과 러시아 쇼트트랙 40주년이 겹치는 것을 두고 "상징적인 일"이라고 언급했다.
빅토르 안은 러시아에서 쇼트트랙의 대중화와 홍보에 크게 기여했으며, 특히 2014 소치 동계올림픽에서 금메달 3개와 동메달 1개를 획득하며 큰 활약을 펼쳤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당시 그는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에게 훈장을 받는 등 영웅 대접을 받았다.
굴랴예프 회장은 이번 행사에 빅토르 안을 초대했으나 가족 문제로 참석하지 못했다고 전하며, "그는 항상 우리의 활동에 호응하고 젊은이들에게 쇼트트랙을 홍보하려는 노력을 지지한다"고 말했다.
빅토르 안은 2006년 토리노 동계올림픽에서 한국 대표로서 3관왕에 오르며 주목받았으나, 소속팀 해체 등의 어려움으로 인해 러시아로 귀화했다.
이후 2011년 러시아 국적을 취득하고, 2014년 소치 동계올림픽에서 다시 한 번 3관왕에 올랐다. 그러나 2018년 도핑 스캔들로 평창동계올림픽 출전이 무산되었고, 2020년 선수 은퇴를 선언했다.
베이징 동계올림픽 당시 / 뉴스1
이후 그는 중국 대표팀 기술코치로 활동하며 국제 무대에서 계속해서 영향력을 발휘했다.
2023년에는 성남시청 빙상팀 코치직에 지원하며 국내 복귀를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그의 이러한 행보는 여전히 많은 이들의 관심을 받고 있으며, 그가 앞으로 어떤 역할을 맡게 될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