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JTBC '밥 잘 사주는 예쁜 누나'
[인사이트] 최민서 기자 = "이재명 체포동의안 가결됐다던데...'가결'이 뭔가요?"
지난 21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체포동의안이 가결된 이후 네이버 지식인에는 '가결'의 의미를 묻는 글이 잇따라 올라왔다.
특히 한 포털사이트에선 이 대표를 검색했을 때 관련 검색어로 '가결 뜻', '부결 뜻', '가결 부결 뜻'이 가장 먼저 나오기도 했다.
가결이란 회의 혹은 제출된 의안을 합당하다고 결정할 때 쓰이는 용어다.
한 포털사이트에 이 대표 검색했을 때 나오는 관련 검색어 / DAUM
이는 많은 이들이 검색창에 '가결'에 대한 질문을 많이 남기면서 자동으로 상단 관련어에 나타난 것으로 유추된다.
최근에도 온라인상에서 '심심(甚深)한 사과', '사흘이 4일', '유니섹스' 등 순우리말을 오해하는 일들이 연달아 일어나 한차례 주목을 받은 바 있다.
문해력 논란이 사그라들기 전에 '가결'에 대한 검색량이 급증하면서 일각에선 문해력 테스트까지 등장하기도 했다.
NAVER
전문가들은 이러한 현상이 일상에서 은어와 줄임말을 자주 사용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조사에 따르면 대한민국 기본 문맹률은 1%에 가깝다.
하지만 문장의 뜻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는 실질 문맹률은 무려 75%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또한 2021년 5월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가 전국 초·중·고교 교사 115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자 37.9%가 문해력 수준이 70점대(C등급)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35.1%는 60점대(D등급), 90점대(A등급)는 2.1%, 80점대(B등급)는 15.4%로 나타났다.
문해력 수준이 낮은 이유로는 '유튜브와 같은 영상 매체에 익숙해서(73%)', '독서를 소홀히 해서(54.3%)' 등이 원인으로 꼽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