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Tube '워크맨-Workman'
[인사이트] 권길여 기자 = 많은 의류 브랜드에서 아르바이트생에게 '유니폼'을 강매하고 있어 사회적 문제로 떠오른 바 있다.
이 같은 장면이 '워크맨' 채널에 나와 많은 이들의 이목을 집중 시켰다.
지난 25일 '워크맨' 공식 유튜브 채널에는 장성규가 내셔널지오그래픽 의류 매장에서 아르바이트를 하게 되는 모습이 나왔다.
이날 장성규는 내셔널지오그래픽 매장 직원 A씨에게 "보통 의류 매장에서는 해당 브랜드 옷 입고 일하지 않냐. 공짜 맞죠?"라고 물었다.
YouTube '워크맨-Workman'
이에 A씨는 "일당에서 까는 거다. 나도 내 돈 주고 사입었다"라며 "대신 직원 할인 50% 된다"라고 말했다.
일당도 받지 않은 상태라 부담이 되는지 장성규는 제일 저렴한 제품을 찾았고, A씨는 비교적 싼 맨투맨을 추천해줬다.
결국 장성규는 그나마 싼 편인 8만 9천 원짜리 맨투맨을 골라 입었다.
장성규는 신발도 자사 제품을 신고 일해야 한다는 말에 "나한테 장사를 하시는 거냐. 아니, 이거 오늘 버는 배보다 배꼽이 더 크다"고 투덜거렸다.
YouTube '워크맨-Workman'
하지만 일하려면 어쩔 수 없이 사야 했기에 그는 3만 9천 원짜리 슬리퍼와 6천 9백 원짜리 양말까지 구매했다.
이날 장성규는 시급 8,350원을 받고 6시간을 일해 일당 5만 100원을 벌었다.
하지만 50%를 할인받아 구매한 유니폼 가격 6만 7,450원을 의류 매장에 갚아야 했다.
6시간이나 고생해 일했지만 돈을 가져가기는커녕 1만 7,350원을 토해내야 하는 상황에 장성규는 어이없는지 헛헛한 웃음을 지었다.
한편, '워크맨' 측은 내셔널지오그래픽에 대한 부정적 여론이 일자 서둘러 수습에 나섰다.
'워크맨' 측은 "영상 내 오해의 소지가 있을 것 같다"며 "해당 의류 매장 유니폼 규정에는 두 가지 안이 있다. 하나는 해당 브랜드 옷을 착용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타 브랜드가 크게 부각되지 않는 선에서 본인 옷을 착용하는 것"이라고 해명했다.
YouTube '워크맨-Workm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