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 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 businessinsider, (우) gettyimagesBank
[인사이트] 황성아 기자 = 감기에 걸렸을 때 자신을 위해, 혹은 상대방을 위해 마스크를 착용하거나 입을 가리고 재채기를 한다.
과연 우리의 그런 행동들이 감기 바이러스의 전염을 완전히 막을 수 있을까.
흔히 우리는 '그렇다'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라고 경각심을 일깨우는 주장이 제기됐다.
감기 환자와 같은 공기를 마시는 것만으로도 바이러스가 전염될 수 있다는 흥미로운 연구결과가 나왔다.
지난 19일(현지 시간) 미국 타임지는 미국 메릴랜드 보건대학(University of Maryland School of Public Health)의 도널드 밀턴 (Donald Milton) 교수가 누구든 같은 공기를 호흡하는 것만으로도 독감에 전염될 수 있다고 발표한 연구 내용에 대해 보도했다.
University of Maryland School of Public Health
연구 결과에 따르면 독감에 걸린 사람이 기침할 때보다 평상 시 숨을 쉴 때 더 많은 독감 바이러스 입자들이 분출됐다.
밀턴 교수는 독감 바이러스 입자가 언제, 어떻게 배출되는지 알기 위해 독감 진단을 받은 142명의 메릴랜드 대학생을 관찰했다.
대학생들을 밀폐된 공간에 넣어 숨 쉴 때, 말할 때, 기침할 때, 콜록거릴 때에 나오는 독감 바이러스 입자를 기계로 계산했다.
그 결과 대부분의 독감 바이러스(전염성 바이러스)는 기침하지 않을 때 나온 것으로 확인됐다.
YouTube 'University of Maryland School of Public Health'
또 연구진들은 남성이 여성에 비해 더 많은 독감 바이러스 입자를 내뱉었다는 것을 확인했다.
더 높은 체질량 지수(BMI)를 가지고 있는 사람 또한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더 많은 독감 전염성 입자를 내뱉기도 했다.
이에 연구진은 BMI가 높은 사람은 대채로 염증에 걸릴 확률이 높고, 소기도를 자주 열고 닫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했다.
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 연합뉴스
연구진은 "다만 독감 바이러스의 전달력에 대해 연구한 것은 아니라"며 "독감의 공기전염 여부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고 단서를 달았다.
이어 "옆에 있는 사람이 기침하지 않는다고 전염이 안 되는 것은 아니다"며 "당신에게 독감을 옮길 수 있다"고 전했다.
또 그는 의사들이 착용하는 수술용 마스크나 흔히 약국에서 파는 마스크가 독감 바이러스와 같이 미세한 바이러스 입자를 차단하지 못한다고 덧붙였다.
YouTube 'University of Maryland School of Public Health'
황성아 기자 sungah@insigh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