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도관 7명 '윤석열 전담팀' 운영... 24시간 수발 의혹
윤석열 전 대통령이 1차 구속 당시 '황제 수감생활'을 했다는 의혹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지난달 30일 MBC의 보도에 따르면 현직 교도관들이 24시간 전담 배치되었으며, 이들의 근무일지마저 52일간 작성되지 않은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이는 특혜를 넘어선 근무 태만 및 기록 은폐 의혹으로 번지고 있습니다.
윤 전 대통령은 지난 1월 15일 체포되어 구속 취소 결정이 나온 3월 8일까지 총 52일간 서울구치소 독방에 수감되어 있었습니다.
그런데 출소 한 달 뒤인 지난 4월, 현직 교도관 인증을 받아야만 접속이 가능한 온라인 게시판에 "교정보안직원 7명이 윤 대통령의 심부름꾼과 사동도우미로 징발되어 3부제로 24시간 수발을 들었다"라는 내용의 폭로 글이 올라왔습니다.
작성자는 직원들을 24시간 동안 윤 대통령 수발을 들도록 지시한 근거가 무엇인지, 책임자는 누구인지 조사해 처벌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또 작성자는 헌법재판소에 출정할 때마다 말끔했던 윤 전 대통령의 모습에 대해서도 의문을 제기했습니다.
그는 외부 미용사 손질 의혹, CCTV 없이 4개의 혼거실·여러 명이 쓰는 방을 혼자 사용했다는 의혹, 허가받지 않은 차량의 구치소 진입 여부 등 윤 전 대통령 수감 생활 동안 벌어진 7가지 비위 의혹을 조목조목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자체 조사와 책임자 처벌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교정 당국이 국회 감사에서 온갖 수모를 당하고 예산도 받지 못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해당 게시글에는 '실상은 이것보다 더한 것으로 알고 있다', '하고 싶어서 했겠냐, 현직 대통령이니 어쩔 수 없이 했지' 등의 댓글들이 이어졌습니다.
이 같은 의혹을 제보받은 더불어민주당 의원실 확인 결과, 실제로 교정보안직원 7명이 윤 전 대통령 전담팀으로 편성되어 운영된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이 팀은 고참 1명이 팀장을 맡고, 나머지 6명이 2명씩 3교대로 근무하도록 편성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52일간 근무일지 '단 하루도' 미작성... 규정 위반 논란
더 큰 문제는 이 '윤석열 전담팀'이 52일간의 근무일지를 단 하루도 작성하지 않았다는 점입니다.
관련 규정에 따르면 모든 교도관은 수용자의 동정, 접견 특이사항 등을 포함해 근무 중 처리한 업무 내용을 교정정보시스템에 구체적으로 입력해야 합니다.
실제로 이명박·박근혜 전 대통령 수감 당시 운영된 전담팀은 모두 근무 기록을 남겼습니다.
그런데 서울구치소 전담팀은 규정과 전례를 어기고 윤 전 대통령에 대한 기록을 하나도 남기지 않았습니다.
이에 대해 더불어민주당 장경태 의원은 "교도관들이 윤석열 전 대통령을 위해 편지를 배달하고 물을 떠다 주는 등의 수발을 들었다는 제보가 있는데, 근무일지가 없어서 이 사실을 확인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의혹의 핵심이 기록 부재에 있음을 지적했습니다.
경호처 '보안유지 협조 요청' 공문... 압력 의혹 제기
MBC에 따르면 이 같은 이례적인 근무일지 미작성 배경에는 대통령 경호처의 압력이 있었던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윤 전 대통령 구속 이틀 뒤 경호처가 서울구치소로 보낸 공문을 보니, '경호대상자의 동정 유출 방지 등 보안유지 협조 요청'이라는 제목에 수신자는 법무부 보안과장과 서울구치소장 등이 지정됐습니다.
경호처는 "언론의 경쟁적 취재로 각종 내부정보 유출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며 "유출 시 보안업무규정에 따라 관련자가 처벌받을 수 있다"고 '처벌 가능성'을 거론하며 구치소를 압박한 내용이 담겨있었습니다.
당시 경호처의 책임자는 윤 전 대통령 체포 저지를 주도했던 김성훈 전 차장이었습니다.
이에 대해 법무부는 "교도관들이 물을 떠다 주는 등 잡일을 했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라고 부인하면서도, "근무 일지 미작성 등 부적절한 사실이 확인돼 엄정한 감찰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이번 국정감사에서 특혜 논란으로 경질된 김현우 당시 서울구치소장과 '윤석열 전담팀' 교도관들을 증인으로 불러 진상을 규명할 계획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