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27일(월)

대전 국정자원 화재, '데이터는 안전할까?' 우려에... "실시간으로 백업"

국가 전산망 마비, 데이터는 안전할까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전산실에서 발생한 화재로 정부 업무 시스템 647개의 가동이 중단되는 사태가 발생했습니다.


국민들의 주요 행정 서비스가 일시적으로 마비되면서 큰 혼란이 야기되고 있습니다.


데이터 소실에 대한 우려도 이어지고 있는데요, 다행히 저장된 데이터는 실시간 재난복구(DR·Disaster Recovery) 시스템이 작동 중이어서 소실 우려는 낮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뉴스1


4중 백업 체계로 데이터 안전 확보


27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화재가 발생한 전산실은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이 자체 운영하는 프라이빗 클라우드 환경인 'G-클라우드 존'에 해당합니다.


이곳은 스토리지(데이터 저장) 재난복구가 실시간으로 이루어집니다.


클라우드 업계에 따르면, 이 구역의 데이터 백업은 4중화까지 진행되고 있어 안전성이 높은 편입니다.


즉, 서버가 화재로 물리적 손상을 입었더라도 외부에 분산 저장된 데이터를 통해 복구가 가능하다는 설명입니다.


국정자원 전산실에는 주민등록, 세금, 보건의료 등 국민 생활과 직결되는 민감한 행정정보가 집중되어 있어 화재 직후 데이터 소실에 대한 우려가 확산됐습니다.


하지만 실시간 재난복구 체계가 가동되고 있어 중요 데이터의 소실 가능성은 낮다는 것이 당국과 업계의 설명입니다.


27일 오전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현장에서 소방당국 관계자들이 소실된 리튬이온배터리에 대한 반출 작업을 하고 있다. 2025.9.27 / 뉴스1


그러나 복구 작업이 순탄하게 진행되지는 않을 전망입니다.


화재로 인해 서버의 전원 연결이 차단된 상황이어서 백업 데이터를 활용하는 작업에도 어려움이 예상됩니다.


행정안전부 관계자는 브리핑을 통해 "대전·대구·광주 3개 센터로 이뤄진 국정자원 센터 가운데 대전·광주는 재해복구 시스템이 일부 구축됐지만 필요 최소한 규모도 있고 스토리지(저장)만 있거나 백업만 있는 것도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뉴스1


이번 화재는 지난 26일 오후 8시 15분경 대전 국정자원 본원 전산실 내 리튬이온배터리에서 발생했습니다.


이로 인해 정부 업무시스템 647개의 가동이 중단되었고, 각 부처 홈페이지와 행정업무 시스템이 잇따라 마비되면서 국민 생활에도 불편이 초래되고 있습니다.


특히 주민등록, 세금, 보건의료 등 국민 생활과 직결되는 주요 행정 서비스가 영향을 받고 있어 정부는 신속한 복구를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그러나 물리적 손상을 입은 서버 장비의 교체와 시스템 재구축에는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