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40세대 미혼 남녀, 결혼과 자녀에 대한 인식 변화
결혼과 자녀에 대한 2040세대 미혼 남녀의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대통령 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가 24일 발표한 '제4차 결혼·출산·양육 및 정부 저출생 대책 인식 조사' 결과에 따르면, 결혼을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미혼 남녀의 비율이 지난해 3월 55.9%에서 올해 8월 62.6%로 6.7%포인트 증가했습니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3월과 9월, 올해 3월과 8월 총 네 차례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올해 8월에는 전국 만 25∼49세 남녀 2천800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습니다.
실제 결혼 의향이 있는 미혼 남녀도 같은 기간 61.0%에서 64.5%로 증가했는데요.
여성의 결혼 의향은 48.2%에서 54.4%로 크게 늘어났습니다. 남성의 경우는 72.0%에서 72.9%로 소폭 상승했습니다.
네 차례 조사에서 결혼 의향이 있음에도 미혼인 주된 이유로는 '결혼 자금' 부족이 가장 많이 꼽혔습니다.
자녀 필요성에 대한 인식과 출산 의향 증가
자녀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미혼 남녀의 비율도 지난해 3월 50.0%에서 올해 8월 61.2%로 11.2%포인트나 증가했습니다.
만 25∼29세 젊은 층에서 큰 변화가 있었는데요. 이 연령대 남성은 같은 기간 66.2%에서 77.3%로, 여성은 34.4%에서 52.0%로 자녀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크게 높아졌습니다.
전체 조사 대상자들이 생각하는 이상적인 자녀 수는 지난해 3월과 동일하게 1.8명으로 나타났습니다.
현재 자녀가 없는 이들의 출산 의향은 작년 3월 32.6%에서 올해 8월 40.2%로 증가했습니다. 미혼 남녀의 출산 의향은 29.5%에서 39.5%로 10%포인트 상승했습니다.
현재 자녀가 있는 남녀의 추가 출산 의향도 같은 기간 10.0%에서 11.4%로 증가했습니다. 특히 현재 자녀가 있는 20대 여성의 경우 출산 의향이 20.2%에서 40.0%로 20%포인트 가까이 급증했습니다.
출산을 위해 필요한 조건으로는 올해 3월(34.5%)과 8월(34.6%) 조사 모두 '소득이 좀 더 많으면'이 가장 많이 선택되었습니다.
지난달 조사에서 소득을 제외할 경우 남성은 '육아휴직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면'(26%)을, 여성은 '배우자가 육아에 함께 참여한다면'(21.2%)을 두 번째로 많이 꼽았습니다.
일·가정 양립과 정부 정책에 대한 인식
본인의 일·가정양립이 '잘 되고 있다'는 인식은 올해 3월 60.4%에서 지난달 62.3%로 상승했으며, 배우자의 일·가정양립이 '잘 되고 있다'는 인식도 같은 기간 70.0%에서 70.5%로 소폭 증가했습니다.
맞벌이 가구의 일·가정생활 균형을 위해 가장 필요한 사항으로는 올해 3월(55.6%)과 지난달(49.8%) 조사 모두 '육아지원제도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직장문화'가 1위로 꼽혔습니다.
정부의 저출생 대책 추진 시 우선순위로 고려해야 할 점으로는 '구분 없이 고르게 지원'(29.8%), '결혼했지만 자녀가 없는 가정'(26%), '결혼하지 않은 청년세대'(24.3%) 순으로 응답률이 높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