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청년수당, 성장지원 프로그램으로 취·창업 성과 높여
서울시가 청년수당 지급과 함께 '성장지원 프로그램'을 도입한 결과, 참여 청년들의 취·창업 비율이 크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서울시는 22일 청년수당 참여자의 취·창업 비율이 10%p(포인트) 이상 상승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청년수당은 서울에 거주하는 만 19~34세 미취업 청년들 중 중위소득 150% 이하에 해당하는 이들에게 월 50만원, 최대 6개월간 구직활동 비용을 지원하는 정책입니다.
이 정책은 생활 안정을 기반으로 청년들에게 더 넓은 도전 기회를 제공하여 성장을 지원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서울시는 2023년부터 단순한 현금성 지원을 넘어 멘토링, 현직자 특강, 기업 탐방 등 취·창업 및 자기개발을 위한 성장지원 프로그램을 추가로 도입했습니다. 이러한 종합적인 지원 체계가 청년들의 실질적인 취업 역량 강화로 이어진 것으로 분석됩니다.
성장지원 프로그램 도입 후 취업률 상승과 모니터링 강화
지금까지 청년수당을 받은 2만6545명의 청년들이 성장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했으며, 올해에만 총 119회의 프로그램이 진행되어 지난달까지 3826명의 청년이 참여했습니다.
서울시의 분석에 따르면, 성장지원 프로그램 도입 전인 2020년에는 청년수당 참여자의 취·창업 비율이 52.8%였으나, 도입 후인 2023년에는 62.9%로 10%p 이상 상승했습니다.
또한 청년수당 참여자들의 구직활동 참여율도 참여 전 61.3%에서 참여 후 67.2%로 증가했으며, 최근 한 달 일한 비율도 43.5%에서 52.3%로 높아졌습니다.
서울시는 청년수당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2023년 온라인 증빙시스템을 구축하고, 지난해에는 약 12만 건에 대한 전수 모니터링을 실시했습니다.
그 결과 현금 사용률이 2023년 39%에서 지난해 18%로 절반 이상 감소했고, 클린카드 이용률은 61%에서 82%로 크게 증가했습니다.
서울시는 청년수당 참여자들의 현금 사용내용을 3단계에 걸쳐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부적절한 사용 내역에 대한 증빙자료 보완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지급 중단 조치까지 취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지난해에는 38명이 이러한 조치를 받았습니다.
서울시는 사회적 배려가 필요한 청년들을 위해 서울런 참여자, 고립·은둔 청년, 중위소득 80% 이하 단기 근로자 등에게 청년수당을 우선 지원하고 있습니다.
김철희 서울시 미래청년기획관은 "청년수당이 생활 안정을 바탕으로 도전 기회를 넓혀 청년 성장을 지원하는 대표 청년정책으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앞으로도 적극 개선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