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 "실패해도 다시 도전할 수 있는 환경 만들겠다"
"젊어서 고생은 사서도 한다는 말 있지만, 요즘 그러면 뺨 맞는다"
이재명 대통령이 실패에 지나치게 가혹한 요즘 우리 사회 풍토를 언급하면서 '재도전'이 가능한 사회를 이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는 뜻을 밝혔습니다.
청년 창업자들을 만난 자리에서 재도전이 가능한 창업 생태계를 조성하겠다는 의지를 밝힌 것인데, 특유의 직설적인 화법을 사용하며 공감을 얻었습니다.
지난 17일 경기 성남시 판교 스타트업 스퀘어에서 열린 '청년 스타트업 상상콘서트'에 참석한 이 대통령은 "우리 사회는 실패에 대해 지나치게 가혹하다"며 "한 번 넘어지면 다시 일어나기 어려운 세상이 됐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옛날에는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 '젊어서 고생은 사서 한다'고 했지만, 요즘은 그런 말 했다가는 뺨을 맞는다고 한다"며 청년들의 공감을 이끌어냈습니다.
이어 "같은 역량과 같은 용기를 가진 사람이라면 실패 경험이 있는 이가 성공할 가능성이 더 크다"며 "재도전하는 사람들이 우대받지는 못하더라도 첫 도전과 차별받지 않도록 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정부, 빌려주기보다 직접 구매로 지원"
이 대통령은 청년 창업자들의 가장 큰 고민인 투자 유치와 초기 수요 창출 문제에 대해서도 언급했습니다. 그는 "성남시와 경기도에서 재도전 펀드를 운영했을 때 성공률이 높았다"며 "정부도 1조원 규모의 재도전 펀드를 조성했지만 다소 적어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정부 지원은 지금까지 대출이나 보조 방식에 치중했지만, 이제는 구매가 필요하다"며 "5000억원을 지원하는 것보다 1조원을 직접 구매하는 것이 훨씬 효과적이다. 실제로 그렇게 운영해 보겠다"고 밝혔습니다.
이 대통령은 새로운 기술과 기존 산업 간 갈등을 조정하는 정치의 역할도 강조했습니다. 그는 문재인 정부 시절 택시업계 반발로 좌초한 승차 공유 서비스 '타다' 사례를 언급하며 "당시 제3의 대안을 모색하며 허심탄회하게 논의했다면 절충점이 있었을 것"이라고 아쉬움을 드러냈습니다.
이어 "새로운 기술이 등장할 때마다 기존 기득권의 권리만을 앞세우면 결국 혁신 산업 발전을 가로막는다"며 "많은 토론과 조정을 통해 모두가 이익이 되는 방향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