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90원 소금빵? 경제 유튜버의 도전에 제빵업계 '발칵'
"대한민국 제빵 업계에 격노하여..." 이 한마디가 빵값 논쟁의 도화선이 되었습니다.
구독자 360만 명을 보유한 경제 유튜브 채널 '슈카월드'의 전석재 씨가 '빵값 급등'에 맞서 파격적인 행보를 보이며 온라인을 뜨겁게 달구고 있습니다.
전석재 씨는 30일 서울 성수동에 'ETF 베이커리'라는 팝업스토어를 열고 소금빵과 베이글을 990원부터 판매한다고 밝혔습니다.
시중에서 3,000~4,000원에 판매되는 소금빵을 990원에 판매하겠다는 계획에 소비자들은 환호하고 있지만, 제빵업계는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습니다.
빵값 논쟁의 시작
전석재 씨는 최근 공개한 영상에서 "경제 유튜브를 하면서 빵값이 맨날 비싸다 비싸다 얘기했는데 내가 직접 만들면 빵값이 내려갈 수 있을까, 아니면 실제로 우리나라 현실에서는 어쩔 수 없는 가격이었나 알아보고 싶었다"고 팝업스토어 오픈 취지를 밝혔습니다.
ETF 베이커리에서는 소금빵, 플레인 베이글, 바게트를 990원에, 식빵과 무화과 베이글은 1,990원에 판매합니다.
복숭아 케이크 2호는 18,900원으로 시중가보다 훨씬 저렴한 가격에 선보입니다.
글로우서울 관계자는 "산지 직송 방식으로 원재료를 공급받아 유통비를 줄였다"며 가격 인하의 비결을 설명했습니다.
제빵업계의 반발
하지만 이 소식에 제빵업계는 불편한 심정을 토로하고 있습니다.
한 자영업자는 "소금빵이 하루에 1,000개, 1만개씩 팔려도 990원에는 절대 못 판다. 빵 하나 원가가 1,000원인데 어떻게 파나"라며 분통을 터뜨렸습니다.
또 다른 빵집 사장은 "며칠 전부터 매출이 급속도로 떨어지더니 손님이 '왜 이렇게 비싸게 파냐. 유튜버가 990원에 파니 빵값이 비싸서 못 사 먹겠다'고 한마디 하고 가셨다"며 "새벽 4시 반부터 일어나 작업하는데 허무하다"고 토로했습니다.
제빵업계 종사자들은 자신들이 폭리를 취한다는 이미지가 생길까 우려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판매가에 거품이 낀 게 아니라 원가 및 유통비 상승 때문에 값을 못 내리는 건데, 애꿎은 자영업자들이 욕 먹고 피해를 본다며 고충을 토로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빵값이 비싼 이유로는 높은 인건비와 복잡한 유통 구조가 주로 거론됩니다.
한국은 밀의 99% 이상을 수입에 의존해 국제 곡물 가격과 환율 변동에 민감할 수밖에 없습니다.
제빵업계의 인건비 비율은 전체 원가의 28.7%에 달해 식품 제조업 평균(8.1%)의 3배를 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소비자들의 반응은
소비자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분분합니다.
"한국 빵값 비싼 건 맞지 않나. 소금빵을 3,000원에 파는 게 더 말이 안 된다"라는 의견이 있는 반면, "이벤트성 팝업스토어라 더 저렴하게 팔 수 있을 테니 자영업자들에게 왜 비싼 가격 받냐고 항의하는 건 옳지 못한 것 같다"는 반박도 나오고 있습니다.
한 누리꾼은 "소비자 입장에서는 당연히 저렴한 게 좋은 것 아닌가. 본인이 싸게 팔겠다는데 자본주의 사회에서 그런 것도 욕먹어야 하나"라고 지적했습니다.
또 다른 누리꾼은 "바로 옆에 빵 가게 차린 것도 아니고 팝업스토어가 시장 혼란 일으킬 정도면 장사 접어야 하는 것 아니냐"라고 반문했습니다.
빵값 논쟁, 어디로 향할 것인가
이번 논쟁은 단순한 빵값 문제를 넘어 한국 식품 산업의 구조적 문제와 소비자 권익 사이의 균형점을 찾는 계기가 될 수 있습니다.
팝업스토어라는 일시적 실험이 제빵업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그리고 소비자들의 인식 변화로 이어질지 귀추가 주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