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국무총리 대통령 권한대행이 조기 대선을 앞두고 복잡한 고심을 이어가는 것으로 보인다. 겉으로는 출마 의사가 없다고 선을 긋고 있지만, 정치권 안팎에서는 여전히 막판 출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전망이 나온다.
무엇보다 한 대행이 '불출마 선언'을 하지 않고 있다.
지난 15일 MBN 보도에 따르면 한 대행은 최근까지도 사석에서 정권 재창출 실패에 대한 깊은 우려를 드러낸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대선에서 승리하는 상황은 "국가를 위해 반드시 막아야 한다"는 신념을 주변에 밝혀왔다는 전언도 전해졌다.
한 언론이 보도한 '불출마 가닥'에 대해서도 한 대행 측과 국민의힘 지도부 모두 "사실이 아니다"라고 즉각 부인했다. 출마의 문을 완전히 닫은 것은 아니라는 해석에 힘이 실린다.
경제 관료로서 50년 이상 공직에 몸담았던 한 대행은 이재명 전 대표가 추진했던 민생지원금 정책을 강하게 비판해온 인물이다. 특히 1인당 연 25만 원을 지급하겠다는 기본소득 구상에 대해선 일찌감치 "포퓰리즘의 전형"이라며 공개적으로 반대해왔다.
지난해 4월 인터뷰에서 그는 "정치권이든 정부든, 포퓰리즘은 자유민주주의의 암적 존재가 될 수 있다"고 직설적으로 말했다. 이 같은 발언은 단순한 정책 비판을 넘어, 이 전 대표의 통치 철학에 대한 근본적 회의로 읽힌다.
또 다른 핵심 고민은 외교다. 특히 한미일 공조에 금이 갈 수 있다는 위기감을 크게 느끼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한 대행은 2023년 6월, 기자로부터 "일본 총리 같은 발언 아니냐"는 질문을 받은 뒤 "그런 질문은 예의가 아니다"라고 강하게 불쾌감을 표시하기도 했다.
자신을 모욕했다는 데 초점을 맞추기보다 '외교 상대국' 일본을 자극해서는 안 된다는 뉘앙스였다.
한 대행은 최근까지도 윤상현 의원 등 국민의힘 친윤계 인사들로부터 출마 권유를 받아왔지만, 이에 대해서는 "대통령 출마를 생각해본 적이 단 한 번도 없다"고 잘라 말했다.
다만, 한 대행의 최종 선택은 여론 추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한 대행과 가까운 관계자는 매체에 "현재는 출마 의사가 없지만, 국민의힘 후보들이 여론조사에서 이 전 대표에게 계속 뒤지는 상황이 이어진다면, 고심 끝에 결심을 내릴 가능성도 없다고 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결국 한덕수 대행의 출마 여부는 여전히 안갯속이다. 공식 선언이 나오기 전까지는 '불출마 선언'도, '정권 수호의 결단'도 모두 유보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