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4월 05일(토)

60일 안에 해야 하는 조기대선, 6월 3일 예상되지만... 5월 28일 떠오르는 이유


헌법재판소가 4일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소추안을 인용함에 따라, 정부는 조기 대선 준비에 본격 착수했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은 오는 8일 정례 국무회의에서 차기 대선일을 공식 지정할 것으로 예상되며, 정치권에서는 '6월 3일'이 유력한 날짜로 거론되고 있다.


헌법 제68조 2항에 따르면, 대통령이 궐위된 경우 60일 이내에 후임자를 선출해야 한다. 이에 따라 한덕수 권한대행은 늦어도 14일까지 5월 24일에서 6월 3일 사이의 날짜를 제21대 대선일로 지정해야 한다.


한덕수 국무총리 대통령 권한대행 / 뉴스1


일반적으로 대선은 수요일에 치러지지만, 대통령 궐위로 인한 조기 대선의 경우 요일에 대한 별도 규정이 없어 6월 3일 화요일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 이는 선거 준비 및 선거운동에 필요한 시간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한 조치다.



그러나 6월 3일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주관하는 2025년 전국연합학력평가일과 겹친다. 이 모의평가는 수험생들에게 가장 중요한 수능 모의고사로, 교육계에서는 대선일과의 중복을 우려하고 있다. 


과거에도 국가적 행사로 인해 모의평가 일정이 조정된 사례가 있지만, 이번에는 대선일 조정이 더 현실적인 방안으로 고려되고 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뉴스1


이러한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대선일을 5월 28일 수요일로 앞당기는 방안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 5월 28일에 대선을 치를 경우, 사전투표는 5월 23일(금)과 24일(토)에 실시되며, 본투표와 사전투표 사이에 충분한 간격이 확보된다. 


또한, 수능 모의평가와의 일정 중복을 피할 수 있어 교육계의 우려도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선관위는 오는 7일 전체회의를 소집해 대선 날짜를 확정하고, 이를 한덕수 권한대행에게 건의할 예정이다. 한 권한대행은 선관위의 결정을 존중해 대선일을 최종 확정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절차를 통해 조기 대선이 차질 없이 준비될 것으로 보이며, 국민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