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가계대출 문제가 심각한 상황이다.
최근 통계에 따르면, 1인당 평균 대출 잔액이 6분기 연속 증가하며 거의 9,000만 원에 도달했다.
이는 관련 통계가 시작된 2012년 이후 역대 최대 수준이다. 지난해와 비교했을 때, 1인당 대출 잔액은 약 200만 원 가까이 늘어났다.
특히 주목할 점은 지난해 4분기 말 대출자 수가 지난 2020년 4분기 이후 가장 적었음에도 불구하고 총대출 잔액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지난 2020년 3분기부터 지속된 흐름으로, 최근에는 지난해 1분기 말 이후로도 계속해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40대와 30대 이하의 평균 은행 대출 잔액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반면, 50대는 전 분기 말보다 평균 대출 잔액이 약간 줄어들었고, 60대 이상도 감소세를 보였다.
특히, 이 두 연령층의 대출 잔액은 각각 전 분기 대비 약 10만 원과 47만 원 감소했다.
이러한 가계대출 증가는 경제 전반에 걸쳐 다양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금리 인상이나 경기 침체 등의 외부 요인이 더해질 경우 가계의 재정적 부담이 더욱 커질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금융 당국과 정책 입안자들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적극적인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