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품 플랫폼 발란이 결국 법정관리에 들어가게 되면서 업계의 우려가 현실화되었다. 31일 업계에 따르면 발란은 서울회생법원에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했다.
최형록 대표는 "파트너 여러분의 상거래 채권을 안정적으로 변제하고 발란 플랫폼의 지속 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해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26일 뉴스1에서 '정산금 지급 지연' 관련 보도가 나온 지 5일 만이다.
발란의 기업회생 신청 의혹은 온라인 커뮤니티에 게시된 '발란 기업 회생절차 준비 증거 파일'이라는 게시글로 인해 처음 제기되었다. 해당 게시글에는 셀러들이 발란 사무실에서 촬영한 사진과 함께 회생 관련 제출 자료 항목이 포함되어 있었다.
이 사진들은 최근 정산금 지급 지연 사태와 관련된 파일들을 보여주며, 발란 측의 사전 준비 의혹을 불러일으켰다.
발란은 파트너사에 대한 정산금 지급 지연으로 인해 '제2 티메프 사태'라는 악몽이 재현될 수 있다는 우려를 낳았다.
티메프 역시 미정산 리스크 후 투자 확보 난항과 금융거래 중단으로 유동성 악화에 직면해 기업회생절차에 돌입한 바 있다.
발란도 마찬가지로 미정산 논란 이후 카드사와 PG사가 신규 결제를 중단하면서 유동성 위기에 빠졌다.
최형록 대표는 "발란은 올 1분기 내 계획했던 투자 유치를 일부 진행했으나, 예상과 달리 추가 자금 확보가 지연돼 단기적인 유동성 경색에 빠졌다"며 "발란의 회생절차는 타 사례와 본질적으로 다르다"고 강조했다.
그는 일반 소비자에게 금전적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으며, 현재 미지급된 상거래 채권 규모도 발란의 월 거래액보다 적다고 설명했다. 또한 이달부터 쿠폰 및 각종 비용을 절감해 흑자 기반을 확보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판매 피해자 단톡방에서는 800명이 넘는 셀러들이 분노를 표출하고 있다.
일반 소비자의 금전적 피해 외에도 판매자들의 수백억 원에 달하는 피해액이 상거래채권으로 분류되어 정산 불확실성에 대한 불만이 고조되고 있다.
특히 최 대표가 이미 기업회생절차를 준비하면서 지난주 정산계획안을 미룬 것이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최 대표는 "이번 주 중 매각 주관사를 지정해 본격적으로 M&A 실행에 나서며 회생계획안 인가 전에 외부 인수자를 유치해 자금 유입을 앞당김으로써 상거래 채권도 신속하게 변제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