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의성에 위치한 천년고찰 고운사가 산불에 무너진 가운데, 스님이 "지키지 못했다"며 눈물을 보였다.
하지만 스님은 불길이 절을 덮치기 전 유형문화유산을 미리 옮겨 더 큰 화를 면했다.
지난 26일 산림 당국에 따르면 전날 오후 4시 50분쯤 의성군 단촌면 등운산 자락에 위치한 대한불교 조계종 제16교구 본사 고운사가 산불에 완전히 소실됐다. 지난 22일에는 안평면 천등산 자락에 있는 고운사 소속 사찰 운람사가 산불로 전소했다.
고운사 건축물은 산불에 전소했으나, 절 내부에 있던 보물 제246호 석조여래좌상 등 유형문화유산은 경북 각지로 무사히 옮겨졌고 아미타3존, 탄생불, 신중탱화 등 유물은 조문국박물관으로 옮겨졌다.
고운사 도륜 스님은 KBS와의 인터뷰에서 "스님들과 (문화재를) 옮기다가 인명 피해가 나면 안 되니 철수하라고 해서 끝까지 남아 있다가 철수했다"며 "문화재가 손상되면 세월을 복원할 수 없기 때문에 지켜야겠다는 마음으로 급하게 이동 조치를 했다"고 밝혔다.
도륜 스님은 불에 탄 운람사를 바라보며 말없이 눈물을 흘렸고 "천년 고찰을 이어왔는데 우리 대에서 부처님 전각을 잃어버리게 돼서 정말 죄송하다"고 했다.
또 도륜 스님은 목이 멘 목소리로 "부처님 도량을 지키지 못한 것에 정말로 죄송하고 부처님께 참회를 드린다"며 "저희들이 부처님 도량을 잘 지켜야 하는데…"라고 자책했다.
끝으로 도륜 스님은 "산불이 빨리 진화돼서 종료되기를 바란다"며 "다시 복원해서 신도들이 예전과 같이 기도하고 희망을 드리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경북 화재는 지난 22일 오전 11시 24분쯤 의성군 안평면 괴산리 야산 정상에서 처음 발생했다. 성묘객이 묘지를 정리하던 중 불을 냈다고 신고한 것으로 전해졌다.
의성 산불은 강풍을 타고 북동부권 4개 시·군으로 급속히 번졌고 인명 피해도 늘어났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오늘(27일) 오전 6시 기준 인명 피해는 사망 26명, 중상 8명, 경상 22명이다.